
25일 한국경영자총협회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실시한 '2025 국민건강보험 현안 대국민 인식조사' 결과 국민 80%가 국민건강보험의 보험료율 동결 또는 인하를 원한다고 응답했다.
현재 소득 대비 건강보험료 부담 수준은 본인이나 가계 소득에 비해 건강보험료 수준이 '부담된다'는 응답이 77.6%에 달했다. '보통이다'는 17.6%, '부담되지 않는다'는 4.8%에 그쳤다.
2026년도 보험료율 결정과 관련해서는 '인하 또는 동결해야 한다'는 응답이 80.3%에 달했다. 이는 2020년 조사 이래 최고치다. 보험료율을 '인상'해야 한다는 응답은 19.7%였다.
건강보험을 통한 상병수당 도입은 업무와 관련 없는 상해나 질병으로 소득을 상실한 경우 건강보험에서 상병수당을 지급하는 것에는 '긍정적'이 51.4%, '부정적'이 38.5%로 조사됐다. '긍정적'이라는 응답이 처음 과반을 넘어 팬데믹 이후 취약계층 지원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확대된 것으로 분석된다.
보험료율의 법정상한(현재 8%)을 높이는 '국민건강보험법' 개정에 대해서는 '부정적'이 54.1%, '긍정적'이 32.3%로 집계됐다. 인구고령화에 대한 해법으로 보험료율을 높여서라도 재정을 충당해야 한다는 취지의 '찬성' 의견보다 현행 법정상한 내에서 지출 효율화로 대응해야 한다는 취지의 '반대' 의견이 여전히 큰 것으로 분석된다.
임영태 경총 고용·사회정책본부장은 "국민의 의료비 부담 완화를 위한 건강보험 급여 확대가 보험료 부담 증가로 이어지는 지금의 방식은 지속가능할 수 없다"며 "인구·경제 다운사이징 시대에 국민과 국가가 부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재정지출을 효율화하는 방식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보건복지부는 오는 28일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에서 내년에 적용할 보험료율을 결정할 예정이다. 지난 정부는 국민경제의 어려움을 고려해 보험료율을 2년 연속 동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