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5일 박상진 특검보는 정례브리핑에서 김 여사 조사와 관련해 "김건희씨는 오전 10시 출석해 조사받고 있다"면서도 "대체로 진술거부권을 행사 중"이라고 말했다.
특검팀은 지난 12일 김 여사가 구속된 뒤 14일, 18일, 21일 총 3차례 소환해 조사를 벌였다. 특검은 김 여사에게 명태균 공천개입 의혹,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 건진법사·통일교 청탁 의혹 등을 집중적으로 물었지만 김 여사는 진술을 거부했다.
박 특검보는 기소 시점과 관련해 "구속 기한 만기가 이번 주 일요일(31일)이라 그전에는 당연히 기소돼야 한다"면서 "이르면 금요일(29일) 정도로 기소 시점을 잡고 있다. 다만 전개되는 일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박 특검보는 전씨 조사를 두고 "전씨는 오늘 구속 후 첫 조사라 기본적으로 가능한 걸 다 물어본 뒤 이후에 오늘 조사에서 미처 못 물어본 걸 소환해서 물어볼 계획"이라고 밝혔다.
전씨는 지난 2022년 4∼8월께 윤영호 전 통일교 세계본부장으로부터 '김건희 여사 선물용' 다이아몬드 목걸이, 샤넬백 등과 교단 현안 청탁을 받은 후 이를 김 여사에게 전달해준 혐의를 받고 있으며 지난 21일 구속됐다.
한편 특검팀은 이날 윤석열 전 대통령의 공직선거법상 허위사실 공표 의혹에 대한 수사도 본격화했다. 이를 위해 특검팀은 정춘생 조국혁신당 의원과 당 법률위원장인 서상범 변호사를 고발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조국혁신당은 지난 4월 윤 전 대통령이 김 여사의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연루 의혹과 장모의 잔고증명서 위조 사건과 관련해 허위사실을 공표했다며 경찰에 고발했고, 이후 특검팀이 넘겨받았다.
정 의원은 이날 특검 사무실 앞에서 기자들을 만나 "유권자들의 올바른 판단을 해치고 민주주의 질서를 훼손하는 허위사실 공표죄는 공직선거법에서도 중하게 다스리는 범죄"라며 "유죄가 확정돼 당선무효형을 선고받으면 대선 관련 국고보조금과 선거보조금을 다 반환해야 한다"고 신속한 수사를 촉구했다.
이와 함께 특검팀은 이날 국회에 특별검사보 1~2명과 파견 수사인력 60명의 증원이 담긴 특검법 개정 의견을 국회에 요청했다.
박 특검보는 "특검보는 현행(4명)에서 1~2명, 파견 검사는 현행 40명에서 20명, 파견 공무원은 현행 80명에서 40명을 각각 추가 증원하는 정도로 의견을 드렸다"고 말했다.
다만 특검은 연장 없이 90일, 2회 연장을 포함하면 최장 150일인 수사 기간을 늘려달라는 의견을 제출하지는 않았다. 박 특검보는 이에 대해 "아직 기본일정을 다 소화하지 않은 상황에서 굳이 어떤 걸 예상해서 기간 연장을 요청하는 건 섣부르다는 생각"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경찰 등 파견 공무원을 어떻게 구성할지 등에 대해서도 "법이 개정된 후 본격적으로 검토해 나가겠다"고 답했다.
또 박 특검보는 통일교 관련 의혹의 핵심 인물로 지목되고 있는 권성동 국민의힘 의원 소환 조사 여부에 대해서는 "권 의원 관련해선 당연히 소환 조사가 필요한 것"이라면서도 "소환 일정 관련해서는 소환을 하게 되면 최소한 전날에는 공지하겠다"고 답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