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세 폭탄' 등의 영향으로 지난달 한국의 대미 철강 수출이 작년 동기 대비 25% 넘게 급감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일각에서는 미국이 수입 철강 제품에 부과하는 품목관세를 25%에서 50%로 올린 데 이어 최근 50% 관세 대상을 파생상품 407종으로 확대하면서 철강 업계는 물론 수출 업계 전반으로 관세 타격이 확산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24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7월 한국의 대미 철강 수출액은 2억8341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3억8255만달러)보다 25.9% 감소했다.
이 같은 감소 폭은 2023년 1월 이후 2년 6개월 만에 가장 큰 낙폭이다. 수출액 기준으로는 2021년 3월 이후 4년 4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물량 기준으로 보면 7월 대미 철강 수출은 19만4000t으로 작년 동월과 비교해 24.3% 줄었다. 이 같은 수출량은 2023년 1월(17만4000t) 이후 2년 6개월 만에 가장 적다.
미국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3월 수입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25%의 품목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6월부터는 50%로 인상해 관세 장벽을 크게 높인 바 있다.
한아름 한국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미국이 철강 관세를 25% 부과한 데 이어 50%로 인상한 영향이 시차를 두고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앞서 한국의 대미 철강 수출 단가는 2022년 톤(t)당 1915달러에서 2023년 1651달러, 2024년 1476달러로 매년 낮아지는 추세를 보인 바 있다. 다만 올해는 7월까지 1396달러로 하락, 특히 지난 6월에는 1269달러까지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상무부는 지난 18일부터 냉장고, 변압기, 트랙터, 엘리베이터, 전선·케이블 등 철강·알루미늄이 들어가는 제품에 대해 철강·알루미늄 함량분에 대해 50% 관세를 매기고 있다. 이 함량을 제외한 부분에 대해서는 국가별 상호관세율을 적용, 한국의 상호관세율은 15%로 협의된 바 있다.
특히 이번 파생상품 관세 적용 확대는 미 상무부가 지난 5월 자국 업계의 파생상품 추가 신청을 받은 것을 거의 그대로 반영한 것으로 나타나 추후 추가 신청을 통해 50% 관세 대상이 더 늘어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