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TSMC 지분 확보 추진설에…대만 "정부 심의 거쳐야"

  • 전문가 "TSMC 지분 인수 불공평…경영 자율성 제약·반도체 생태계 훼손 우려"

TSMC 로고 사진로이터연합뉴스
TSMC 로고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기업인 TSMC 지분 인수 방안을 검토하자 대만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21일 연합보와 중국시보 등 대만언론에 따르면 궈즈후이 대만 경제부장(장관)은 전날 입법원(국회) 경제위원회 출석을 앞두고 열린 기자회견에서 대만 민간기업인 TSMC에 상황을 파악할 것이라고 밝혔다.
 
궈 부장은 해당 소식과 파급 효과에 대한 확인과 전문가 평가가 필요하다며 “미국 정부가 투자를 통해 TSMC 주주가 되려면 반드시 경제부 투자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경제부는 TSMC 최대 주주인 국가발전위원회(이하 NDC)와 함께 관련 논의에 착수했다. 현재 NDC는 TSMC 지분 6.38%를 보유하고 있다.
 
대만 내에서는 이른바 ‘실리콘 실드(반도체 방패)’가 약화되고, TSMC가 ‘대만의 기업’에서 ‘미국의 TSMC(ASMC)’로 변모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류페이전 대만경제연구원(TIER) 연구원은 대만 매체 이티투데이(ETtoday)와 인터뷰에서 “이 같은 방식은 TSMC에 매우 불공평하다”며 “TSMC 경영진은 정치적 압력을 받을 수 있고, 기술 주도권과 기업 자율성이 크게 제약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는 전체 반도체 생태계 운영 모델을 훼손해 글로벌 산업 발전에도 장기적인 불안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TSMC의 자금 여력을 감안할 때 미국 보조금은 필수적이지 않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자유시보는 TSMC가 올해 2분기 기준 2조3600억 대만 달러(약 108조3000억원)의 현금성 자산을 보유하고 있다며, 66억 달러(약 9조2000억원) 규모의 보조금이 없어도 미국 공장 건설에는 차질이 없다고 전했다. 류더인 TSMC 전 회장도 미국 애리조나 공장 건설을 결정했을 당시에는 반도체 보조금 법안 자체가 없었다고 강조했다.
 
앞서 로이터통신은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이 ‘반도체지원법’ 보조금을 지급받는 기업들의 지분을 미국 정부가 확보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보도했다. 이는 미국 정부가 인텔에 지원금 대가로 10% 지분을 받으려는 계획을 확대 적용하는 것으로, TSMC를 비롯해 삼성전자·마이크론 등 글로벌 반도체 기업도 잠재적 대상에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