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시가 1조 883억원 규모의 제3회 추가경정예산안을 시의회에 제출했다.
기정예산(17조 6106억원) 대비 6.2% 늘어난 규모다. 재원은 정부 2차 추경 국비, 기금 여유분, 지방채 발행 등을 통해 마련됐다.
핵심은 민생회복 소비쿠폰으로, 9344억원이 투입돼 전체 추경의 약 85.9%를 차지한다.
국비 8706억원과 시비 638억원이 매칭돼 지역 소비를 단기간에 끌어올리겠다는 전략이다.
아울러 지역사랑상품권(동백전) 인센티브 보상금도 837억원을 추가 편성해 캐시백 상한을 7%에서 13%로 상향한다.
이번 추경 예산은 사실상 네 가지 축으로 압축된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9344억원을 비롯해 지역사랑상품권(동백전) 인센티브 보상금 837억원, 복지·교통 분야 국고보조사업 469억원, 그리고 지역 현안 수요 28억원이 그것으로, 이들 네 항목만으로 전체 추경 규모의 98% 이상을 차지한다.
회계별로는 총예산이 186조 9890억 원으로 늘어났으며, 일반회계는 150조 7290억 원으로 7.6% 증가했다.
특별회계는 3조 6260억 원으로 0.5% 늘었다. 특별회계 내에서는 도시철도사업(7062억→7244억, +2.6%)이 가장 큰 폭으로 확대됐다.
국고보조사업 가운데서는 청년월세 한시지원 104억원, 발달장애인 주간활동서비스 49억원, 영유아 보육료 27억원이 대표적이다.
인프라 부문에서는 도시철도 사상~하단선 100억원, 도시철도 LTE-R 구축 82억원이 반영됐다.
지역 현안 예산에는 △야간 아이돌보미 처우 개선 1억 △2026 세계유산위원회 부산 개최 준비 5억 △2028 세계디자인수도 붐업 사업 5억 △중장년 채용 인센티브 6억 등이 포함됐다.
부산시는 이번 추경을 통해 "소비쿠폰과 지역화폐 확대가 즉시적인 경기 체감을 불러올 것"이라며 "골목상권 매출 회복과 민생 안정을 동시에 도모하겠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