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정부의 생성형 인공지능(AI) 활용이 본격화하고 있다. AI로 지방 행정 업무 효율화를 추진하는 한편, 늘어나는 자연 재해에 대비해 AI를 통해 기상 예측에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18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일본 총무성은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생성형 AI 활용 지침을 마련하기로 했다.
총무성은 생성형 AI 활용을 추진하고 관리하는 ‘최고 AI 책임자’(CAIO)를 각 지자체에 배치한다. 뿐만 아니라 CAIO의 판단을 지원하는 ‘CAIO 보좌관’도 둘 예정이다.
일본 정부는 우선 올해 안에 행정 업무에서의 활용 사례와 유의 사항을 정리해 공개할 예정이다. 활용 사례로는 AI를 활용해 주민 민원을 24시간 접수하는 서비스를 비롯해 회의록 및 기획서 작성 시 AI를 도입 중인 지자체의 사례를 제시한다. 유의 사항에 대해서는 지자체의 경우 주민의 개인 정보를 다루는 부서가 많기 때문에 AI가 개인정보와 같은 기밀 정보를 학습해 사용하는 것을 금지한다는 내용이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AI 활용 지침은 법적인 구속력은 없지만 지자체들이 가능하면 도입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일본 총무성은 각 지자체가 생성형 AI를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되면 인구 감소와 인력 부족 상황 속에서도 지방 행정 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일본 기상청에서도 ‘심층학습’(딥러닝) 기술로 AI가 방대한 관측 데이터를 학습하게 해서 태풍 진로나 단시간 호우 예측에 활용할 계획이다. 요미우리신문에 따르면 일본 기상청은 AI를 이용한 기상예보 모델을 개발해 오는 2030년 무렵 도입할 계획이다.
현재 일본 기상청은 기온이나 대기의 수증기 양 등 관측 데이터를 슈퍼컴퓨터에 입력해 날씨를 예측하는 ‘수치 예보’에 기반하고 있다. 그러나 AI 예보모델이 개발되면 고성능 슈퍼컴퓨터 없이도 단시간에 정확한 예측을 기대할 수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일본은 저출생·고령화에 따른 생산가능인구 감소와 노후화한 생산 설비 등으로 생산성이 떨어지면서 정부가 나서서 디지털 전환(DX)에 대대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일본 시장조사업체 후지키메라총연에 따르면 일본 DX 시장은 2030년까지 6조5195억엔(약 61조3480억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