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지자체에 생성형 AI 도입 본격화…인구감소 속 행정 효율성 강화

  • 지자체에 'AI 책임자' 도입…개인정보 사용 금지 등 활용지침 마련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일본 정부가 생성형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지방 행정의 업무 효율화를 본격 추진한다.
 
18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일본 총무성은 올해 안에 지방자치단체용 생성형 AI 활용 지침을 마련할 계획이다.
 
지침에는 행정 업무 적용 사례와 유의사항이 담기며, 주민 민원을 24시간 접수하는 AI 서비스, 회의록 요약 및 기획서 작성에 AI를 활용해 업무 시간을 줄인 선행 사례 등이 제시된다. 아울러 AI 학습 및 활용 과정에서 주민 개인정보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명확히 규정할 방침이다.
 
총무성은 또 각 지자체에 생성형 AI 활용을 총괄하는 '최고 AI 책임자'(CAIO)와 전문 지식을 갖춘 'CAIO 보좌관'을 각 지자체에 둘 예정이다. 전문 인력 확보가 어려운 소규모 지자체의 경우 여러 지자체가 공동으로 보좌관을 운영하는 방안도 검토할 방침이다.
 
총무성은 지자체가 생성형 AI를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되면 인구 감소 시대에 지방 행정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총무성이 지난 6월 발표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인구 50만명 이상인 정령지정도시는 약 90%가 이미 생성형 AI를 행정에 활용 중이지만 이외의 중소 지자체 중에서는 도입률이 약 30%에 그쳤다. 특히 소규모 지자체일수록 AI 전문 인재 확보가 어려워 도입을 망설이는 사례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