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7일 산업통상자원부 등에 따르면 정부는 '석유화학산업 구조 재편 방안'을 마련해 유관부처, 석화 업계와 막판 조율에 돌입했다. 재편안은 이달 중 발표될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과 중동의 대규모 설비 증설로 인해 글로벌 공급이 폭발적으로 늘어난 데다 수요는 줄어들며 국내 석화 산업계는 3~4년째 이중고를 겪고 있다.
한화그룹과 DL그룹의 합작 회사인 여천NCC의 부도 위기는 한국 석유화학 산업의 위기를 그대로 보여준다. 여천NCC는 적자 누적으로 재무 구조가 악화돼 부도 위기에 직면했다. 추가 출자, 유상증자 등의 긴급 조치를 취했으나 위기를 타개하기는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지난해 말 '석유화학산업 경쟁력 제고 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여기에 BCG그룹 보고서와 업계 간담회 등을 더해 석유화학산업 재편을 유도하기 위한 지원책을 마련했다. 문신학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은 지난달부터 10여개의 석화기업 대표를 만나 사업 재편 계획을 취합하고 정부 지원안을 손질해왔다.
산업부가 이달 중 발표할 구조 개편 방안은 기업의 자발적 사업 재편 추진을 이끌어내기 위한 인센티브에 방점이 찍힌 것으로 알려졌다. 기업들이 자발적으로 사업을 정리·조정하거나 인수·합병(M&A) 조치를 할 경우 정부가 행정·금융 등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대책에는 개별 기업의 구체적인 구조조정 계획과 수치도 담길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공급 과잉에 대응하기 위해 생산 물량을 조절해야 하는 만큼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는 수준의 생산 설비 가동 계획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
국내 업계의 사업 재편 지원을 위해 정부는 각종 지원책을 정리했다. △합작법인 설립 △신사업 M&A 추진 시 기업결합심사가 신속히 이뤄질 수 있도록 공정거래위원회 컨설팅을 지원한다. 또 사업 재편을 위한 정보 교환을 위해 사전 심사를 간소화한다.
이 밖에 △납사·납사 제조용 원유에 대한 무관세 기간 연장 △에탄 등 원료 확보를 위한 터미널·저장탱크 건설 인허가 '패스트트랙' 지원 △공업 원료용 액화천연가스(LNG) 석유 수입 부과금 환급 등도 추진한다.
김정관 산업부 장관은 "석유화학산업의 현 상황을 엄중하게 인식하고 있다"며 "업계가 합심해 설비 조정 등 자발적 사업 재편에 참여해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