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글로벌 과잉공급과 미국 관세 부과 등으로 철강산업 위기를 겪고 있는 포항시에 대한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여부를 신속히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14일 경북 포항시청에서 역 철강기업 6개사와 경상북도, 포항시 등이 참여한 포항 철강 기업 릴레이 현장 간담회 개최했다.
이날 간담회는 글로벌 과잉공급 및 미 관세 등 최근 통상 이슈로 참석기업이 현장에서 겪는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와 수출기업 보호를 위한 제도적 지원을 건의하고, 지자체와 함께 심층 토론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최근 통상 이슈 관련 대응현황에 대한 토론에서 참석기업들은 제3국 우회덤핑 방지를 위한 법령개정 추진, 관세 피해 우려 수출기업에 대한 관세대응 바우처 신설 등 정부의 정책적 노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 철강부문 통상 대응과 국내시장 보호을 위한 노력을 요청했다.
또 기업들은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 논의에서 글로벌 공급과잉에 대응한 탄소 저감, 에너지 효율화 등을 위한 연구개발에 적극적인 지원을 당부했다.
이에 정부측은 철강산업의 저탄소 전환, AX 등 산업 고도화 방안을 구체화할 계획이라고 응답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철강산업의 위기가 포항 지역경제 전반으로 파급되지 않도록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는 공감하에 고용안정 지원과 지역 협력업체·소상공인 대상 금융지원 등의 의견이 제시됐다.
이와 관련해 오승철 산업통상자원부 산업기반실장은 “포항시와 지역기업의 현재 여건을 감안해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여부를 신속히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윤인대 기획재정부 차관보도 “산업위기대응심의위원회를 통해 관계부처와 지원수단 등을 검토해 조속히 처리될 수 있도록 뒷받침하겠다”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