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재부에 따르면 이번 간담회는 기업성장과 역동성 제고를 위해 과감한 규제·지원제도 개선방안을 공론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선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마련됐다.
참석 기업들은 실제 기업 성장 현장에서 겪어왔던 어려움을 바탕으로 중소기업이 중견기업으로 성장을 주저하게 만드는 세제·연구개발(R&D) 등 중소기업 지원제도 개선방안을 건의했다. 또 이를 관계 부처와 유관 기관과 함께 심층 토론했다.
우선 중소·중견기업 대상 세제지원과 관련해 참석 기업들은 정부가 중소기업 졸업 유예기간을 연장과 중소기업 졸업 후 세제 지원 점감구간을 마련한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올해도 조특법상 중소기업 매출액 기준을 상향하는 등 중소기업 대상 지원 강화를 추진하고 있는 점도 호평하고 중소·중견기업에 대한 정부의 지속적인 관심을 요청하였다.
참석자들은 투자, R&D, 인공지능(AI) 도입, 수출시장 개척 등 성장과 밀접한 경영활동에 집중 지원하는 방향으로 중소·중견기업 지원제도를 바꿔나가자는데 공감대를 같이 했다.
정부는 앞으로 업종·지역별 릴레이 현장간담회를 지속 개최해 관계 부처와 현장의견을 듣고 기업의 성장촉진을 위한 제도개선 과제를 지속 발굴할 계획이다. 기재부는 "관계 부처, 기업, 유관 기관이 폭넓게 참여해 중소기업 지원제도, 기업 규모별 규제, 지주사 규제 등 개선방안을 심층 토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