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검, 김건희 소환 '도이치·건진·명태균' 등 5가지 혐의 조사...尹 체포영장 7일 유력

  • 김건희 도이치·명태균·건진법사 순으로 조사받은 것으로 알려져

  • 호칭은 피의자, 진술거부권도 쓰지 않아...영상 녹화는 거부

  • 윤석열 체포영장 7일 시한 만료...7일 재집행 이뤄질 가능성 높아

윤석열 전 대통령 배우자 김건희 여사가 6일 서울 종로구 KT광화문빌딩 웨스트에 마련된 민중기 특별검사팀 사무실에 피의자 신분으로 출석하고 있다 전·현직 대통령 부인이 수사기관에 피의자로 공개 출석하는 것은 헌정사상 처음이다 사진연합뉴스
윤석열 전 대통령 배우자 김건희 여사가 6일 서울 종로구 KT광화문빌딩 웨스트에 마련된 민중기 특별검사팀 사무실에 피의자 신분으로 출석하고 있다. 전현직 대통령 부인이 수사기관에 피의자로 공개 출석하는 것은 헌정사상 처음이다. [사진=연합뉴스]
김건희 여사를 둘러싼 여러 의혹들을 수사 중인 민중기 특별검사팀은 6일 김 여사를 소환해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 공천개입 의혹, 건진법사 청탁 의혹, 명품 목걸이 재산신고 누락 의혹과 대선 경선 허위사실공표 의혹 등 5가지 혐의에 대해 조사했다.

특검팀은 이날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 명태균 공천개입 의혹, 건진법사 청탁 의혹 순으로 김 여사를 조사했다.

우선 도이치모터스 의혹과 관련해선 권오수 전 회장 일당이 지난 2009년부터 2012년까지 주가를 조작하는 과정에서 김 여사가 돈을 대는 이른바 '전주' 역할을 했는지, 주가조작을 공모하거나 방조했는지 여부에 대해 조사를 벌였다.

또 김 여사가 김영선 전 국민의힘 의원의 보궐선거 공천 등에 개입했다는 이른바 '명태균 게이트'에 대해서도 김 여사가 김 전 의원, 정치브로커 명태균씨와 어떤 관계인지 어떤 목적으로 공천에 개입했는지 여부 등을 조사했다.

특검은 윤영호 전 통일교 세계본부장이 통일교 교단 청탁과 함께 김 여사에게 전달해 달라며 건진법사 전성배씨에게 다이아 목걸이 등을 건넨 이른바 '건진법사 게이트'와 관련해서도 김 여사가 목걸이를 실제로 전달 받았는지, 목걸이를 받은 대가로 통일교에 무엇을 제공했는지 등에 대해서도 물은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특검은 김 여사가 2022년 나토 순방 당시 착용한 장신구를 재산 신고하지 않았다는 의혹도 조사 대상에 추가해 조사를 벌였다. 

김 여사 소환조사에 앞서 특검팀은 권오수 전 회장, 명태균씨, 김영선 전 의원, 윤영호 전 본부장, 오빠 김진우씨 등 5가지 사건 관련자들에 대해 소환 조사를 벌이기도 했다.

다만 특검팀이 조사해야 할 수사 대상만 모두 16가지에 달해 특검팀은 향후 김 여사를 추가 소환해 조사를 벌일 계획이다.

특검팀은 이날 조사에서 김 여사를 피의자로 호칭했으며, 김 여사가 진술 거부권을 쓰지 않았다고 밝혔다. 통상 조사 전에 이뤄지는 티타임도 이뤄지지 않았다. 다만 김 여사가 영상녹화 조사를 원하지 않아 영상녹화 없이 조사가 진행됐다.

조사는 오전 10시 23분부터 시작됐으며 오전 11시 59분께 점심식사를 위해 잠시 중단됐다가 오후 1시부터 조사가 재개됐다. 김 여사는 이날 스스로 준비해온 도시락으로 점심을 해결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검은 김 여사의 건강 상태를 배려해 오전 조사때 10분간 휴식시간을 부여했고, 오후에도 2시 14분부터 10분간 휴식시간을 제공했다.

김 여사 변호인단도 취재진에 보낸 공지문을 통해 "특검 측에서 여러모로 배려해 주셔서 조사는 잘 진행되고 있다"고 감사를 전하기도 했다.

한편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집행이 언제 이뤄질지도 관심사다. 앞서 특검팀은 지난 1일 서울구치소를 방문해 윤 전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을 집행하려 했으나 윤 전 대통령이 수의도 벗고 속옷 차림으로 강하게 저항해 집행이 무산된 바 있다.

특검팀은 변호인을 선임하지 않았던 윤 전 대통령이 지난 5일 돌연 변호인을 선임함에 따라 변호인과 소환조사 일정, 방식 등을 논의하기 위해 5일과 6일 양일간 체포영장 집행에 나서지 않았다. 

다만 체포영장 유효기간이 7일에 끝나는 만큼 영장을 재집행한다면 7일이 유력하다. 하지만 특검에 적극적으로 진술한 것으로 알려진 김 여사와 달리, 윤 전 대통령 측은 진술 거부권을 행사하겠다고 밝힘에 따라 영장이 집행되더라도 원활한 조사는 이뤄지기 어려울 것으로 관측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