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국민적 공감대 형성을 위해 상설 조직인 '국민주권 대북정책추진단'을 만들어 원활한 소통을 주도하겠다고 강조했다.
정동영 장관은 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남북협력민간단체협의회(북민협) 관계자들과 만나 "과거엔 간헐적으로 소통했지만 현장 목소리와 민간단체의 가려운 곳을 전달받고 해결하고 소통하는 구조를 만들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아울러 그는 "과거 독일이 통일한 것은 실용주의적 관점에서 인적, 물적 교류가 이어졌기 때문"이라며 "(우리가) 일관성을 갖고 남북화해협력을 이어왔더라면 우리가 서 있는 자리가 달라졌을 것"이라고 아쉬움을 표했다.
특히 그는 "민간협이 (남북 관계의) 마중물 역할도 했고 실질적인 몸통 역할도 했다"면서 "작년, 재작년 관련 회의도 한 번 개최되지 않고, (남북) 접촉조차도 허용 안 됐던 것이 이해할 수가 없었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남북이) 접촉을 해야 서로 이해를 하게 된다"며 "민간 교류 접촉 수리 신고 지침을 폐기했다. 자유롭게 만나시라. 접촉이 재개되면 협력 기금에 대한 지원도 바로 재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정 장관은 지난달 31일 출근길에 기자들과 만나 대북접촉 신고를 선별해 거부할 수 있게 했던 내부 지침을 폐기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이주성 북민협 사무총장은 "그간 남북이 만나지 않으니까 불신이 많이 쌓였다"며 "또 한 번 (소통)할 수 있는 계기가 만들어진 것에 대해 환영과 지지를 보낸다"고 사의를 표했다.
이어 "대한민국 국민이 안전해지려면 북쪽도 안전해야 한다. 공여자와 수혜자로 나뉘는 게 아니라 파트너십"이라며 남북 관계 개선의 중요성을 피력했다.
이날 면담에는 북민협 회장을 맡고 있는 곽수광 국제푸른나무 이사장을 비롯해 조명환 월드비전 회장, 이기범 어린이어깨동무 회장, 최창남 한국국제기아대책기구 회장, 이 사무총장 등이 참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