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취업 청년 61%, 정년 65세 연장 시 채용 감소 우려… 중장년 '영향 없다'"

  • 경총, 정년연장 및 근로 가치관 세대별 인식조사

사진경총
[사진=경총]
법정 정년연장이 현실화할 경우 청년층 신규 채용에 미칠 영향에 대한 전망이 미취업 청년과 중장년 재직자 사이에서 갈린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영자총협회가 미취업 청년(500명)과 중장년 재직자(500명)를 대상으로 '정년연장 및 근로 가치관에 대한 세대별 인식조사'를 실시한 결과 법정 정년이 65세로 연장될 경우 청년층 신규채용에 미칠 영향에 대해 미취업 청년은 '감소할 것'이라는 응답이 61.2%로 집계됐다.

반면 중장년 재직자는 '영향 없음'이라는 응답이 50.6%로 가장 높게 집계됐다. 중장년 재직자는 법정 정년연장으로 청년 신규채용이 '감소할 것'이라는 응답도 43.0%로 높게 나타났다.

65세로 법정 정년이 연장될 경우 조직 내 고령자 비율이 높아져 업무·작업 효율이 감소할 우려가 있다는 의견에 대해 미취업 청년은 '동의한다'는 응답이 59.0%로 가장 높았고, 중장년 재직자는 '동의하지 않는다'라는 응답이 62.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법정 정년(60세) 이후 고령자 계속고용을 위한 가장 적절한 방식에 대해 미취업 청년은 '기업 여건에 맞게 자율적으로 결정해야 한다'는 응답이 36.8%로 가장 높은 반면, 중장년 재직자는 '정년연장'이라는 응답이 46.8%로 가장 높았다.

연공급 임금체계(호봉제)의 개편 필요성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77.0%가 '개편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임영태 경총 고용·사회정책본부장은 "정년 이후 고령자 계속고용은 일할 기회의 배분, 임금체계의 공정성 같은 청년과 중장년 간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히고설켜 있어 이를 합리적으로 조율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라며 "특히 지금처럼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로 기업들의 일자리 창출력이 크게 위축된 상황에서 법정 정년연장 같은 일률적인 방식은 노동시장에 진입조차 하지 못한 청년들에게 더 큰 좌절감을 줄 수 있어 신중히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