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유럽연합(EU)에 최소 15% 이상의 고관세를 요구하면서, EU가 강도 높은 보복 조치를 검토 중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EU는 당초 상호 무관세 또는 10%선 관세 합의를 추진했지만, 미국이 의약품·자동차 등 분야의 고율 관세를 고수하며 협상이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다.
이에 EU 회원국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설정한 협상 시한(8월 1일)까지 합의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보복관세와 함께 ‘반강압 수단(ACI·Anti-Coercion Instrument)’ 발동도 검토하도록 EU 집행위원회에 압박을 가하고 있다. ACI는 2023년 12월 시행된 제도로, 외국의 경제적 강압에 대응해 해당국 기업에 금융·투자·지재권 등 제재를 가할 수 있는 EU의 가장 강력한 무역 대응 수단이다.
EU는 현재 210억 유로(약 34조 원) 상당의 미국산 상품에 대한 보복관세를 8월 6일부터 시행할 예정이며, 추가로 720억 유로 규모의 2차 관세도 준비 중이다. 다만 아직 승인 절차는 개시되지 않았다.
WSJ는 독일 등 기존 대미 온건국가들도 강경 대응에 찬성하는 방향으로 입장을 바꾸고 있다고 전했다. 다만 EU는 여전히 8월 1일 전까지 협상 타결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ACI 준비가 실제 발동으로 이어질지 여부는 미지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