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글로벌 우위를 선점하기 위한 각국의 핵심기술 및 소재·부품·장비 통제가 강화됨에 따라 공공·민간에 흩어져 있는 현지 주요인사와의 네트워크를 통합해 관리하는 '공급망 조기경보체계'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기획재정부는 이형일 기재부 제1차관이 1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취임 후 첫 대외경제전략 전문위원회를 주재하고 재외공관 공급망 조기경보 시스템 강화 방안과 통상 환경 변화에 따른 대응 전략 등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 차관은 "전례 없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통상환경 속에서 우리 경제의 활로를 모색하고 새로운 기회를 찾아나가야 할 시점"이라며 "경제안보 등 최근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는 분야를 중심으로, 통상환경 변화를 고려한 새로운 통상전략을 마련해 적극 추진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공급망 조기경보체계 강화 방안에 이어 ‘경제 안보’ 관련 정책 추진체계 강화 필요성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참석자들은 주요 무역상대국과 더욱 긴밀한 관계를 형성하는데 도움이 될 새로운 경제협력 모델과 경제협력의 외연을 지속적으로 넓혀나가기 위한 전략 등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민간위원들은 통상환경의 높은 불확실성에 대응하기 위해 더욱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며 통상 및 경제안보 정책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범정부 차원의 컨트롤타워 구축과 민·관의 체계적인 협력이 중요하다고 제안했다.
이에 이 차관은 "변화의 파고를 넘기 위해 회의에 참석한 여러 부처와 기관들이 긴밀하게 협력하길 기대한다"며 "민간위원들의 다양한 제안을 향후 정책에 적극 반영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