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6일부터 이어진 집중 호우로 인해 경주 석굴암 등 국가유산 피해가 발생했다.
18일 국가유산청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기준으로 국가유산 피해가 총 5건으로 확인됐다.
피해가 발생한 국가유산은 사적 3건, 국보·보물 각 1건이었다. 지역별로 보면 충남이 4건으로 가장 많았고, 경북이 1건으로 나타났다.
국보 경주 석굴암은 진입로 일대의 사면 일부가 유실됐다. 진입로 부근의 출입을 제한하고 있으며, 안전선 설치 등 임시 조치는 마친 상태다.
보물 '서산 개심사 대웅전'의 경우 경내에 토사가 유출됐다. 출입 방지 및 우장막 설치 등 임시 조치를 완료했고, 복원 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충남 부여에서는 사비 백제기(538∼660)의 왕릉급 무덤 군인 '부여 왕릉원' 내 동상총 사면이 일부 유실됐다. 나성 일부 구간도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윤봉길(1908∼1932) 의사가 태어나서 자란 충남 예산 윤봉길 의사 유적에서는 진입로 인근 등 사적 내 토사가 유출됐다.
국가유산청은 전날 오후 5시부터 국가유산 위기경보 '경계' 단계를 발령했다. 재난안전상황실 운영 및 관련 직원 비상근무 등 재난상황 관리에 나설 예정이며, 각 시도에 산사태 위험지역 인근 국가유산 관람 제한 조치 협조를 요청했다.
아울러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각 지역 돌봄센터와 함께 피해 유산 2차 피해 등 방지를 위한 긴급점검 및 위험지역 모니터링을 실시 중으로, 호우 상황 종료 후 피해 발생 유산의 조속한 회복을 위하여 재난피해조사 및 긴급보수비를 신속해서 지원할 방침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