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최근 한국·일본 등 주요국에 상호관세율을 적시한 서한을 보낸 가운데, 상당수 무역 상대국에 15% 또는 20%의 상호관세를 부과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10일(현지시간) 미 NBC방송과의 전화 인터뷰에서 "나머지 모든 국가는 15%든 20%든 관세를 내게 될 것이다. 우리는 지금 그 비율을 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나머지 국가'는 서한을 받지 않은 국가들을 가리키는 것으로 풀이된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4월 9일 상호관세 부과를 90일 유예했지만 상호관세 중 교역국에 일률적으로 부과했던 10%의 기본관세는 계속 부과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15% 또는 20%'는 기본관세 10%보다는 조금 높은 수준이다.
그는 "모두가 서한을 받을 필요는 없다"면서 "우리는 우리의 관세를 정하는 것뿐"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캐나다와 유럽연합(EU)이 "오늘이나 내일" 새로운 관세율 통지서를 받게 될 것이라고 했다. 직후 트루스소셜에 캐나다에 보낸 서한을 공개했다.
그는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에게 보낸 서한에서 8월 1일부터 캐나다가 미국으로 수출하는 제품에 35%의 관세를 부과받게 된다고 밝혔다. 이어 "캐나다는 미국과 협력하는 대신, 자체 관세로 보복했다"며 "2025년 8월 1일부터 미국으로 수출되는 모든 캐나다 제품에 대해 품목별 관세와는 별도로 35%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했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으로의 합성마약 펜타닐 밀매와 불법 이민자 유입에 충분히 대응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캐나다와 멕시코를 상대로 25% 관세를 부과한 바 있다. 다만 미국·멕시코·캐나다 무역협정(USMCA) 준수 상품에 대해선 관세 적용 면제 조치를 유지해왔다.
EU에도 조만간 관세율을 통보할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인터뷰에서 "EU, 많은 나라들, 캐나다와 얘기하고 있다. 앞으로 몇 시간 안에 발표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