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 등 4대 시중은행의 14일 기준 주택담보대출 혼합형(고정) 금리는 연 3.930∼6.060%로 나타났다.
6%대 혼합형 금리는 2023년 12월 이후 약 2년 만에 처음이다. 8월 말과 비교해 상단이 0.514%포인트(p), 하단이 0.470%p 높아졌다. 금리가 오른 이유는 주요 지표인 은행채 5년물 금리가 2.836%에서 3.399%로 올랐기 때문이다.
주담대 변동금리도 상단이 0.263%p 뛰었다. 지표금리인 코픽스는 0.01%p 높아지는 데 그친 것과 비교하면 체감금리가 더 빠르게 상승한 셈이다. 신용대출 금리도 연 3.520∼4.990%에서 3.790∼5.250%로 상단이 0.260%p, 하단이 0.270%p씩 상승했다.
여기에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시기가 늦어질 것이라는 관측도 시장금리를 높이고 있다는 분석이다. 통상 금융권은 금리 인상이 예측되면 조달비용 상승 등을 고려해 예·적금 및 대출 금리를 올린다.
집값 변동성, 환율 불안까지 겹치면서 연말까지 대출금리 상승·대출 한도 축소 흐름은 지속될 전망이다. 대출 금리가 오르면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에 따라 대출을 받을 수 있는 한도는 더 줄어들게 된다. 금리가 높을수록 갚아야 할 기존 대출의 이자 추정액이 커지고 이에 따라 신규 대출 여력이 낮게 잡히게 되는 것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부동산 시장의 변동성이 커지면 은행이 위험 관리 비용을 더 추가하며 금리가 인상될 여지도 있다"며 "차주들은 이전보다 더 높은 금리를 감당해야 하게 됐는데 금리 부담이 장기화하면 상환 리스크가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