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문 막혔는데 금리는 계속 뛰네…주담대 6%, 신용대출도 5%

  • 혼합형 금리 두 달 반 만에 0.5%p 이상↑

  • DSR 규제·대출 한도 축소 겹쳐…실수요자 급전 찾기 분주

서울 시내의 부동산에 붙은 매매 안내문 사진연합뉴스
서울 시내의 부동산에 붙은 매매 안내문 [사진=연합뉴스]
은행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2년 만에 6%대로 올라섰다. 은행 대출 축소에 시장금리 인상까지 이어지면서 당장 자금이 필요한 서민·실수요자들의 한숨도 길어지는 모습이다.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 등 4대 시중은행의 14일 기준 주택담보대출 혼합형(고정) 금리는 연 3.930∼6.060%로 나타났다. 

6%대 혼합형 금리는 2023년 12월 이후 약 2년 만에 처음이다. 8월 말과 비교해 상단이 0.514%포인트(p), 하단이 0.470%p 높아졌다. 금리가 오른 이유는 주요 지표인 은행채 5년물 금리가 2.836%에서 3.399%로 올랐기 때문이다. 

주담대 변동금리도 상단이 0.263%p 뛰었다. 지표금리인 코픽스는 0.01%p 높아지는 데 그친 것과 비교하면 체감금리가 더 빠르게 상승한 셈이다. 신용대출 금리도 연 3.520∼4.990%에서 3.790∼5.250%로 상단이 0.260%p, 하단이 0.270%p씩 상승했다. 

은행들이 금리 인상 폭을 지표금리 이상으로 끌어올린 배경에는 정부의 초강력 부동산 대출규제가 있다. 가계대출 총량을 엄격하게 관리해야 하는 입장에서 대출 수요를 줄여야 하기 때문이다. 

여기에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시기가 늦어질 것이라는 관측도 시장금리를 높이고 있다는 분석이다. 통상 금융권은 금리 인상이 예측되면 조달비용 상승 등을 고려해 예·적금 및 대출 금리를 올린다. 

집값 변동성, 환율 불안까지 겹치면서 연말까지 대출금리 상승·대출 한도 축소 흐름은 지속될 전망이다. 대출 금리가 오르면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에 따라 대출을 받을 수 있는 한도는 더 줄어들게 된다. 금리가 높을수록 갚아야 할 기존 대출의 이자 추정액이 커지고 이에 따라 신규 대출 여력이 낮게 잡히게 되는 것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부동산 시장의 변동성이 커지면 은행이 위험 관리 비용을 더 추가하며 금리가 인상될 여지도 있다"며 "차주들은 이전보다 더 높은 금리를 감당해야 하게 됐는데 금리 부담이 장기화하면 상환 리스크가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