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현모 KT 전 대표, 차기 CEO 공모 불참…"KT의 역사도 모르는 분들은 참여 자제하라"

구현모 전 KT 대표 사진연합뉴스
구현모 전 KT 대표 [사진=연합뉴스]



구현모 전 KT 대표가 14일 차기 대표 공모와 관련해 메시지를 내고 외부 지원을 자제해 달라고 공개적으로 밝혔다. 그는 “KT의 역사도, 문화도, 기간통신사업자의 역할과 책임도 모르는 분들은 참여를 자제해 달라”며 내부 지원 지지를 강조했다. 

구 전 대표는 이날 입장문에서 “KT 대표를 ‘좋은 일자리’이라고 생각해 응모하는 분들 역시 자격이 없다”며 “KT 내부 인재 역량을 믿는다”고 밝혔다.

그는 매 공모마다 지원자가 몰리는 배경을 ‘내부 후보가 없다는 오해’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내부에는 충분한 역량을 갖춘 후보들이 있으며, 회사 문제를 해결하고 조직을 이끌 능력이 있다고 평가했다.

또 “KT의 역사도, 문화도, 기간통신사업자의 역할과 책임도 모르는 분들은 참여를 자제해 달라”며, 지배구조의 핵심은 외형적 구조가 아니라 “유능한 대표이사 후보를 키우고 정당하게 선택할 수 있는 건강한 구조”라고 설명했다.

그는 AI 기업 이미지가 강조되는 분위기와 관련해 “인공지능의 중요성을 잘 알지만 그렇다고 AI 전문가가 KT를 이끌 대표가 될 수는 없다”며 KT는 무엇보다 국가 기간통신망을 책임지는 기업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아울러 자신은 이번 공모에 참여하지 않겠다는 뜻도 분명히 밝혔다. “내부 인재가 선택될 때 KT의 지배구조는 비로소 단단해진다”며, “전임자가 나서는 게 바람직하지 하지 않다”고 말했다.

구 전 대표는 3년 전 연임 심사를 통과했음에도 외부 개입으로 자리에서 물러났던 일을 언급하며 당시 대표 선임 과정이 비정상적으로 흔들렸다고 비판했다. 그는 “정관에 따라 추천된 대표 후보를 외부에서 개입해 사퇴시키고, 사외이사들까지 사퇴하도록 해 무려 6개월 동안 대표이사도, 이사회도 없는 기형적 경영 공백이 만들어졌다”고 지적했다.

이후 새 이사회와 대표가 선임됐지만, 그는 이 과정에서 이사회 정당성이 흔들리고 경영 연속성도 단절됐다고 주장했다.

현재 이사회 체제에서 차기 대표 선임 절차가 진행되는 것에 대해서도 우려를 표했다. 구 전 대표는 “올해초 주총에서는 내년도 임기만료 예정 이사들이 임기 만료된 이사 4명 전원을 다시 추천해 선임하도록 하고, 정관에도 맞지 않는 인사권 관련 규정을 신설하는 등 이해하기 어려운 결정을 이어왔다”며, 이러한 이사회로부터 다시 심사를 받아야 한다면 “3년 전 사태를 직접 경험한 사람으로서 온당한 길이 아니라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직원들의 열정을 끌어내지 못하는 CEO는 아무리 똑똑해도 성공할 수 없다”며, KT 구성원을 존중하고 내부 인재 역량을 신뢰하며 조직을 건강하게 이끌 수 있는 대표가 선임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