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표=한국은행]
시중 유동성을 나타내는 광의통화(M2)가 6개월째 늘며 증가세를 이어갔다. 기업과 가계 자금이 요구불예금과 수익증권으로 유입되면서 전년 대비 증가율은 8%대를 유지했다.
한국은행이 12일 발표한 '통화 및 유동성' 통계에 따르면 9월 평균 광의 통화량(M2 기준·평잔)은 전월보다 0.7%(30조3000억원) 증가한 4430조5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 3월 이후 6개월 연속 증가세다.
M2의 전년 동월 대비 증가율은 8.5%로 올라섰다. 지난 8월(8.1%)에 이어 두 달 연속 8%대 증가세다.
넓은 의미의 통화량 지표 M2에는 현금, 요구불예금, 수시입출금식 예금(이상 M1) 외 머니마켓펀드(MMF), 2년 미만 정기 예·적금, 수익증권, 양도성예금증서(CD), 환매조건부채권(RP), 2년 미만 금융채, 2년 미만 금전신탁 등 곧바로 현금화할 수 있는 단기 금융상품이 포함된다.
금융상품별로는 시장형상품(-2조6000억원)이 줄었지만 수익증권(15조3000억원), 수시입출식 저축성 예금(7조1000억원), 요구불예금(6조9000억원)이 증가했다.
9월에는 요구불예금이 9조5000억원,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이 6조8000억원, 수익증권이 5조7000억원씩 각각 늘었다.
경제 주체별로는 기업(10조3000억원), 가계 및 비영리단체(8조9000억원), 기타 금융기관(1조8000억원), 기타부문(6조9000억원) 등 모두 증가했다.
한은 관계자는 "요구불예금과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은 분기말 재무비율 관리와 투자대기성 자금이 유입되면서 증가했다"며 "기업은 요구불예금과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 및 수익증권을 중심으로, 가계 및 비영리단체는 수익증권 및 현금통화를 중심으로 늘었다"고 설명했다.
현금·요구불예금·수시입출식 예금만 포함하는 좁은 의미의 통화량 M1(1330조6000억원)은 전월보다 1.4% 증가했다. 금융기관유동성인 Lf(6013조2000억원)는 0.7% 늘었다.
한국은행이 12일 발표한 '통화 및 유동성' 통계에 따르면 9월 평균 광의 통화량(M2 기준·평잔)은 전월보다 0.7%(30조3000억원) 증가한 4430조5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 3월 이후 6개월 연속 증가세다.
M2의 전년 동월 대비 증가율은 8.5%로 올라섰다. 지난 8월(8.1%)에 이어 두 달 연속 8%대 증가세다.
넓은 의미의 통화량 지표 M2에는 현금, 요구불예금, 수시입출금식 예금(이상 M1) 외 머니마켓펀드(MMF), 2년 미만 정기 예·적금, 수익증권, 양도성예금증서(CD), 환매조건부채권(RP), 2년 미만 금융채, 2년 미만 금전신탁 등 곧바로 현금화할 수 있는 단기 금융상품이 포함된다.
9월에는 요구불예금이 9조5000억원,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이 6조8000억원, 수익증권이 5조7000억원씩 각각 늘었다.
경제 주체별로는 기업(10조3000억원), 가계 및 비영리단체(8조9000억원), 기타 금융기관(1조8000억원), 기타부문(6조9000억원) 등 모두 증가했다.
한은 관계자는 "요구불예금과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은 분기말 재무비율 관리와 투자대기성 자금이 유입되면서 증가했다"며 "기업은 요구불예금과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 및 수익증권을 중심으로, 가계 및 비영리단체는 수익증권 및 현금통화를 중심으로 늘었다"고 설명했다.
현금·요구불예금·수시입출식 예금만 포함하는 좁은 의미의 통화량 M1(1330조6000억원)은 전월보다 1.4% 증가했다. 금융기관유동성인 Lf(6013조2000억원)는 0.7% 늘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