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수출 호조로 지난 9월 우리나라 경상수지가 130억 달러를 웃돌며 역대 2위를 차지했다. 29개월째 흑자 기조다.
한국은행이 6일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 통계에 따르면 9월 경상수지는 134억7000만 달러(약 19조4000억원) 흑자로 집계됐다.
8월(91억5000만 달러)과 지난해 같은 달(112억9000만 달러)보다 각 43억2000만 달러, 21억8000만 달러 늘어 월간 흑자 기준으로 역대 2위를 기록했다. 9월끼리만 비교하면 사상 최대 규모다. 연속 흑자 기간도 2000년대 들어 두 번째로 길다.
올 들어 9월까지 누적 경상수지 흑자(827억7000만 달러)는 지난해 같은 기간(672억3000만 달러)보다 약 23% 많다.
수출(672억7000만 달러)이 지난해 같은 달보다 9.6% 증가했다. 8월(564억4000만 달러)보다도 63억 달러 이상 불었다.
통관 기준으로 반도체(22.1%)·승용차(14.0%)·화학공업제품(10.4%)·기계류정밀기기(10.3%)·무선통신기기(5.3%) 등이 전년 동월 대비 늘었다. 반면 컴퓨터주변기기(-13.5%)는 뒷걸음쳤다.
지역별로는 동남아(21.9%)·EU(19.3%)·일본(3.2%)에서 호조를 보였고, 관세 영향으로 미국(-1.4%)에선 고전했다.
수입(530억2000만 달러)의 경우 지난해 같은 달(507억3000만 달러)보다 4.5% 많았다.
국제유가 하락 등에 원유(-13.3%)·석유제품(-9.8%)·화학공업제품(10.2%)·가스(2.4%) 등 원자재 수입 증가율은 0.4%에 그쳤지만, 국내 소비 회복과 영업일수 증가 등의 영향으로 정보통신기기(29.9%)·수송장비(24.4%)·반도체제조장비(11.6%) 등 자본재 수입이 12.2%나 늘었다. 승용차(36.3%) 등 소비재 증가율도 22.1%에 달했다.
서비스수지는 33억2000만 달러 적자로 집계됐다. 적자 규모가 전월(-21억2000만 달러)이나 지난해 9월(-21억 달러)보다 커졌다.
서비스수지 가운데 여행수지 적자(-9억1000만 달러)는 8월(-10억7000만 달러)보다 줄었지만, 운송수지(-1억2000만 달러)가 5개월 만에 적자로 돌아섰다. 8월보다 사용료 수입이 줄면서 지식재산권사용료수지 적자 폭(-8억5000만 달러)도 8월(-6000만 달러)보다 확대됐다.
본원소득수지 흑자(29억6000만 달러)는 8월(20억7000만 달러)과 비교해 약 9억 달러 늘어 같은 달 기준으로 역대 2위를 기록했다. 특히 8월의 계절적 분기 배당 지급 요인이 해소되면서 배당소득수지 흑자 폭이 15억8000만 달러에서 23억6000만 달러로 커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