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일성·김정일·김정은 3대에 걸쳐 중용된 북한 외교 원로 김영남 전 최고인인민회의 상임위원장 빈소에 조문 행렬이 이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조선중앙통신은 5일 북한의 당·정, 무력기관, 성· 중앙기관 간부들이 전날 김영남의 시신이 안치된 평양시 보통강구역 서장회관을 찾아 조의를 표시했다고 전했다.
빈소에는 김정은 국무위원장 이름의 조화가 놓여있었다. 왕야쥔 주북 중국대사와 레바빙 주북 베트남대사도 빈소를 찾아 애도의 뜻을 전했다.
김영남 전 상임위원장은 암성중독에 의한 다장기부전으로 지난 3일 사망했다. 북한 매체는 김 전 상임위원장의 장례는 국장으로 치러지고 5일 오전 9시 발인한다고 전했다.
김 전 상임위원장은 노동당 국제부와 외무성에서 요직을 두루 거친 외교관 출신이다.
김정은 정권 들어서도 방북한 정상급 인사를 영접하는 등 정상외교의 한 축으로 활약하다가 지난 2019년 91세를 끝으로 60년 넘게 이어온 공직 생활을 마감했다.
지난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때는 북한 고위급 대표단을 이끌고 김정은 위원장의 여동생인 김여정 부부장과 함께 방남해 문재인 전 대통령을 면담하기도 했다.
그가 남북관계에도 관여했던 만큼 과거 인연이 있는 국내 인사들이 조의의 뜻을 표하고 조문 의사를 밝히기도 했지만, 북한은 이에 대해 현재까지 아무런 반응을 내놓지 않았다.
정동영 통일부 장관과 이해찬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이하 민주평통) 수석부의장이 전날 김 전 상임위원장에 대한 조의를 표명했으며 더불어민주당 박지원 의원은 대북 조문사절 파견을 자청했다.
그러나 북한의 남북교류 거부 방침 속에 남북 간 통신선이 단절돼 있어 이런 뜻을 직접 북측에 전달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이 때문에 정동영 장관의 조의 표명 등도 언론을 통해 공개 메시지를 전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