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황 CEO는 지난 3월 미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10b5-1 계획'에 따라 연말까지 최대 600만주를 매각하기로 한 가운데 지난달 31일 2만주 매각을 끝으로 해당 매각 계획을 마무리했다. '10b5-1 계획'은 CEO 등이 미리 정해진 조건과 일정에 따라 주식을 매각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제도다.
황 CEO는 90일의 의무 대기 기간이 끝난 6월부터 본격적으로 매각에 나섰다. 6월 20일과 23일에는 각각 10만주를 처분해 약 1440만 달러(약 205억원)를 확보했다. 이후 엔비디아 주가는 6월 20일 143.83 달러에서 10월 31일 202.49 달러로 약 41% 급등했다.
이에 따라 황 CEO가 매각하기로 한 600만주의 가치는 약 8억6000만 달러(약 1조2300억원)에서 12억1000만 달러(약 1조7300억원)로 불어났다. 엔비디아의 시가총액 역시 6월 12일 3조 달러를 돌파한 뒤 불과 한 달 만인 7월 10일 4조 달러를 넘어섰으며, 지난 10월 29일에는 세계 기업 사상 처음으로 5조 달러를 돌파했다.
2001년 이후 황 CEO는 29억 달러(약 4조1400억원)어치의 엔비디아 주식을 매각했으며, 현재 본인과 가족 신탁을 통해 회사 지분 3.5%를 보유하고 있다. 아직 조건이 충족되지 않은 양도제한 조건부 주식(RSU)은 포함되지 않은 수치다. 그는 올해만 3억 달러 상당의 주식을 재단과 기부 펀드에 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AI 반도체 열풍 속에서 황 CEO를 포함한 엔비디아 내부자 7명은 모두 억만장자 대열에 올랐다. 내부자 주식거래 정보업체 워싱턴서비스에 따르면 황 CEO를 비롯한 엔비디아 경영진은 3분기 동안 약 15억 달러 규모의 자사주를 처분했으며, 올해 전체 매각액은 20억 달러를 넘어섰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