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0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의 한국은행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의원질의에 답하고 있다. [공동취재]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20일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채무비율과 관련해 "국제통화기금(IMF) 등에서는 (적정 한계를) 80~90%로 본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이날 서울 중구 한은에서 열린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권영세 국민의힘 의원의 "국가채무비율의 임계 수준은 얼마라고 생각하나"라는 질문에 "원화가 기본적으로 국제화가 되지 않은 통화인 만큼 우리나라 국가채무비율(GDP대비)은 선진국보다 확실히 낮아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총재는 "중장기적으로는 (국가채무비율 증가율을) 3% 정도로 낮춰야 한다"며 "지금처럼 4%씩 계속 늘어날 경우 2029년 거의 60%에 이르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국가부채 증가 지속을 고민해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다.
이 총재는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도 하향안정화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2021년 말 98.7%로 100%에 육박했으나, 최근 2년 간 지속적으로 하락하면서 올해 1분기엔 89.4%까지 내려갔다가 2분기엔 89.7%로 반등했다.
이 총재는 "지난 2년간 가계부채가 GDP 대비로 감소하고 있었는데 최근 들어서 2분기에 다시 올라간 것이 굉장히 걱정스럽다"고 했다.
그는 "가계부채 문제는 한은의 (금융안정) 책무와도 직접 관련이 있다"며 "제 임기 내에는 가계부채가 GDP 대비로 하향하는 국면이 계속되도록 노력하는 것이 우리 현재 상황에서 더 바람직하다고 생각하고 있어서 더 노력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이날 서울 중구 한은에서 열린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권영세 국민의힘 의원의 "국가채무비율의 임계 수준은 얼마라고 생각하나"라는 질문에 "원화가 기본적으로 국제화가 되지 않은 통화인 만큼 우리나라 국가채무비율(GDP대비)은 선진국보다 확실히 낮아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총재는 "중장기적으로는 (국가채무비율 증가율을) 3% 정도로 낮춰야 한다"며 "지금처럼 4%씩 계속 늘어날 경우 2029년 거의 60%에 이르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국가부채 증가 지속을 고민해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다.
이 총재는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도 하향안정화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2021년 말 98.7%로 100%에 육박했으나, 최근 2년 간 지속적으로 하락하면서 올해 1분기엔 89.4%까지 내려갔다가 2분기엔 89.7%로 반등했다.
그는 "가계부채 문제는 한은의 (금융안정) 책무와도 직접 관련이 있다"며 "제 임기 내에는 가계부채가 GDP 대비로 하향하는 국면이 계속되도록 노력하는 것이 우리 현재 상황에서 더 바람직하다고 생각하고 있어서 더 노력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