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 차관은 이날 수출동향 점검회의를 열고 주요 품목별 수출 동향과 리스크 등을 점검했다.
올해 1~9월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2.2% 증가한 5197억 달러를 기록했다. 지난 6월 이후 4개월 연속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분기별 실적도 개선 흐름을 보이고 있다. 특히 3분기 수출은 1850억 달러로 분기 기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15대 수출 품목 중 반도체와 자동차, 바이오, 선박 등 품목의 수출이 증가했다. 반도체는 주요 빅테크 기업들의 인공지능(AI) 서버 투자 계획이 상향 조정되고 있는 가운데 메모리 가격도 상승 흐름을 나타내고 있는 영향이 크다.
15대 주력 품목 외에도 화장품, 농수산식품, 전기기기 등 유망산업 수출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15대 주력 품목 수출 비중도 지난해 78.2%에서 올해 1~9월 77.4%로 줄어드는 추세다.
반면 철강, 석유제품, 석유화학, 일반기계 등은 감소했다.석유제품과 석유화학 수출은 유가 하락의 영향, 일반기계 수출은 미국의 철강 파생상품 관세 및 글로벌 건설경지 부진에 따른 것으로 해석된다.
올해 1~9월 지역별 수출은 중국과 미국 수출은 감소한 반면 아세안, EU, 인도, CIS 등의 수출은 증가했다. 대중 수출은 반도체, 석유화학 수출이 모두 부진한 영향이 크다. 대미 수출은 반도체는 증가세를 나타낸 반면 자동차, 일반기계, 철강 등 관세 부과 품목이 타격을 받았다.
대아세안 수출은 반도체, 철강, 선박, 자동차부품 등이 호조세를 보이면서 4개월 연속 증가했다. 대EU 수출은 자동차, 반도체, 선박, 석유제품 등이 고르게 증가하며 1~9월 누적 수출 중 최대치를 기록했다.
문 차관은 "미국의 관세조치와 보호무역주의 확산 등 어려운 통상환경에도 불구하고 수출이 증가하고 있는 것은 기업들의 수출시장 다변화와 제품 경쟁력 강화 노력에 따른 것"이라며 "4분기에도 수출 상승세가 이어질 수 있도록 현장과 긴밀히 소통하면서 산업경쟁력 강화와 수출모멘텀 유지 등을 총력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