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9일 기재부 등에 따르면 이날 오후 4시 기준 총 73개의 서비스가 복구 완료됐으며 기재부 디지털예산회계시스템(dBrain+)의 재정자금집행, 국고수납 등은 정상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기재부는 이날 오후 2시 기준 자금이체 1만8402건(1조7043억원), 국고수납 21만2784건(1조8087억원)을 처리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지난 22일 같은 시간대에 비해 자금이체 건수는 7.4% 증가, 금액은 10.4% 감소했다"며 "국고수납 건수는 24.6%, 증가, 금액은 36.0% 감소한 수준이다. 기재부와 한국재정정보원은 dBrain+ 운영 현황을 모니터링 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기재부 홈페이지를 비롯해 유관부처, 외청 등의 홈페이지 접속은 여전히 불가능한 상태다.
나라장터에서는 이미 체결된 계약 목록을 조회만 할 수 있으며 △발주계획 △사전규격 △입찰공고 △투찰 △개찰 업무가 불가능하다. 또 국세, 지방세, 4대보험완납증명은 수기로 처리해야 한다. 세금계산서 발행 서비스 역시 장애 복구 시까지 일시 중단됐다.
통계청 홈페이지를 비롯한 국가통계포털(KOSIS), 마이크로데이터(MDSS), 통계지리정보(SGIS) 등의 서비스도 이용할 수 없다. 통계청은 오는 30일 예정된 '8월 산업활동동향'과 다음 달 2일 '9월 소비자물가동향' 발표에는 영향이 없을 것이라는 입장이지만, 대국민 인터넷 서비스는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특히 정부 화재에 직접 영향을 받은 96개 시스템을 대구 민관협력형 클라우드 시설로 이전 복구하는 데 4주 가량 소요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 중 기재부 소관 서비스는 복권위원회(4등급)가 포함됐다.
김민재 행정안전부 차관은 "정보자원 준비에 2주, 시스템 구축에 2주 정도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대구센터 입주기업 협조 하에 최대한 일정을 당기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