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 출석' 논란 김현지, 1부속실장 이동…대통령실 조직개편 단행

  • 대국민 소통 및 국회 협력 강화 명분으로 조직 개편

  • 김 총무비서관 보직 이동에 '국감 회피용' 비판 제기

하정우 AI미래기획수석과 김현지 총무비서관이 11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수석보좌관회의에서 대화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하정우 AI미래기획수석과 김현지 총무비서관이 11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수석보좌관회의에서 대화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대통령실이 29일 대국민 소통과 국회와의 협력 강화를 이유로 조직 개편을 단행했다. 그러나 국정감사 출석 논란을 빚었던 김현지 총무비서관이 출석 의무가 없는 제1부속실장으로 갑작스레 보직을 옮기면서 '국감 회피용 인사'라는 지적도 제기된다.

강훈식 대통령실 비서실장은 이날 오후 서면 브리핑을 통해 "대통령실의 조직 개편을 단행한다"면서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대통령실은 이번 개편에 따라 인사수석 산하에 인사비서관과 균형인사제도비서관을 두어 인사검증 역량을 강화한다. 현역 의원이 장관 후보자로 지명됐다 낙마하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하는 등 정부 출범 후 '인사 참사'에 대한 비판이 제기된 것에 따른 후속 조치로 풀이된다.

대국민 소통 기능도 강화된다. 디지털소통비서관을 홍보소통수석 산하에서 비서실장 직속으로 격상해 온라인 소통을 확대하고, 정책홍보비서관실과 국정홍보비서관실을 통합해 정책홍보의 효율성을 높인다.

대변인직은 2인 체제로 인원을 보충해 운영된다. 김남준 제1부속실장이 공동 대변인을 맡아 강유정 대변인과 함께 역할을 분담한다. 정부 출범 후 정책브리핑 횟수가 급격히 증가한 만큼, 대변인의 업무 부담 경감을 위한 조치다.

정무수석실에는 정무기획비서관이 신설돼 국회 및 정당과의 협력을 담당한다. 아울러 비서실장 직속으로 '국정기획자문단'을 설치해 각 분야 전문가들과 국정 현안을 점검하고 대응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강 비서실장은 "이번 조직개편을 통해 대통령을 보다 효율적으로 보좌하고 유능하고 책임감 있게 일하는 조직으로 한 걸음 더 나아가겠다"고 조직 개편 배경을 설명했다.

하지만 정치권에서는 이번 조직 개편에 대해 곱지 않은 시선이 제기된다. 이 대통령의 측근으로 꼽히는 김 비서관이 국정감사 출석 여부를 두고 논란이 발생하자 국정감사 출석의 의무가 없는 제1부속실장으로 자리를 옮겼기 때문이다. 총무비서관의 자리는 윤기천 제2부속실장이 맡게 됐으며, 제2부속실의 경우에는 후임자가 없어 당분간 공석이 유지된다. 이에 대통령실이 성급하게 조직 개편을 추진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국정감사 회피를 위한 목적으로 조직개편이 이뤄졌다는 지적에 대해 "(김 부속실장은) 보직과 관계없이 국회에서 (국정감사 출석 요청을) 결정하면 따르겠다는 입장을 밝혀왔다"면서 "이번 조직 개편은 국정감사와 무관하고 대통령실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 그간 개선이 필요한 부분을 점검해 소규모 개편을 진행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