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5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박용갑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방부로부터 제출받은 미활용 군용지 현황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전국 미활용 군용지는 3546곳으로 집계됐다.
이들 용지의 총면적은 약 1032만㎡로, 여의도 면적의 3.6배 규모다. 이 중 수도권(서울·경기·인천)에 있는 부지가 1872개 필지로 전체 면적의 47.9%인 494만㎡ 규모다.
서울의 경우 작년 기준 47개 필지에 약 15만㎡다. 올해 기준으로는 서초구 12개(9만2100㎡), 도봉구 26개(4만4000㎡), 양천구 12개(7000㎡), 노원구 3개(3000㎡) 등 53개 필지에 약 14만6100㎡ 규모의 미활용 부지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작구 수방사 부지는 국방부가 LH에 무상 제공하는 방식으로 개발돼 부지 매입비용이 발생하지 않아 작년 10월 공공분양주택 분양가가 주변보다 5억원가량 낮은 평균 9억5202만원이었다.
국방부가 서울에 보유한 14만6100㎡ 규모 미활용 군용지에서 용적률 300%·건폐율 55%를 적용하고, 공용면적 비율을 25%로 둔 뒤 전용면적 59㎡와 84㎡ 아파트를 50%씩 혼합해 위탁 개발한다고 가정하면 최대 5058가구를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에 공급할 수 있다는 것이 의원실의 설명이다.
다만 국방부가 제출한 연도별 미활용 군용지 정리계획을 보면 2020년 1685만㎡, 2021년 689만㎡, 2022년 311만㎡, 2023년 277만㎡, 2024년 314만㎡ 규모 부지를 매각하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나타났다.
박용갑 의원은 "국방부가 도심 내에 소유한 미활용 군용지는 양질의 주택을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며 "주택 공급 수단으로 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