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월, 금리 인하 속도 조절 시사…"완화 과도하면 인플레 재점화"

제롬 파월 연준 의장 사진EPA·연합뉴스
제롬 파월 연준 의장 [사진=EPA·연합뉴스]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연준이 기준금리를 지나치게 공격적으로 완화한다면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억제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파월 의장은 23일(현지시간) 미국 로드아일랜드주 상공회의소에서 연설을 했다.

이날 그는 "단기적으로 인플레이션 리스크는 상방 쪽으로 기울어져 있고, 고용 리스크는 하방 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도전적인 상황"이라며 "이런 양면적 리스크(two-sided risk)가 존재할 때 리스크가 전무한 선택지는 없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가 (금리를) 너무 공격적으로 완화하면 인플레이션 억제를 미완으로 남겨 놓게 되고, 나중에 인플레이션 2% 목표치를 회복하기 위해 정책을 다시 (금리 인상으로) 전환해야 할 수도 있다"며 "우리가 긴축 정책을 너무 오랫동안 유지하면 고용 시장이 불필요하게 위축될 수 있다"고도 말했다. 

그러면서 "이처럼 우리의 목표(물가안정·최대고용)들이 긴장 관계에 있을 때, 연준의 정책 틀은 양쪽 목표의 균형을 맞추는 것을 요구해왔다"며 "고용에 대한 하방 리스크가 증가하면서 우리의 목표 달성에 있어 리스크 균형 잡기에 변화가 생겼다"고 알렸다.

앞서 연준은 지난 17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개최, 기준금리를 기존 4.25∼4.50%에서 4.00∼4.25%로 내리기로 했다. 이는 지난해 12월 기준금리를 0.25%p 인하한 뒤 9개월 만의 첫 인하 조치다.

이에 대해 파월 의장은 "이 정책 기조가 개인적으로는 여전히 다소 긴축적인 수준이라고 보고 있으며, 이는 우리를 잠재적 경제 변화에 대응하기 좋은 위치에 둔다"며 "우리 정책은 미리 결정된 경로 위에 있지 않다. 연준은 들어오는 데이터와 변화하는 전망, 리스크 균형 잡기에 근거해 적절한 정책 기조를 계속해서 결정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또 그는 "우리는 최대 고용을 지원하고 인플레이션을 지속 가능하게 2% 목표치에 맞추는 데 전념하고 있다"며 "최근 인플레이션이 상승하며 다소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최근 데이터와 조사에 따르면 이런 가격 상승은 전반적인 물가 상승 압력보다 관세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고도 말했다.

파월 의장은 관세 관련 물가 인상이 비교적 단기간에 그칠 수 있다면서도 "관세 인상은 공급망 전반에 반영되는 데 다소 시간이 걸릴 가능성이 있다. 그 결과, 이 일회성 수준의 물가 상승은 몇 분기에 걸쳐 확산하면서 그 기간 동안 다소 높은 인플레이션이 나타날 수 있다"고 예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