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병관리청에서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48명에 대한 결과를 엉뚱한 사람들에게 보내 개인정보가 유출된 사실이 있었던 것으로 뒤늦게 확인됐다.
23일 김선민 조국혁신당 의원이 질병청에서 제출받은 최근 3년간 개인정보 유출사고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질병청에서는 올 들어서만 개인정보 유출 사고 2건이 발생했다.
질병청은 지난 8월 1일 국민건강영양조사 1개 지역 조사 대상자 48명 전체 결과지가 담긴 문자를 24명에게 오발송했다. 문자에는 48명 이름과 성별, 연령, 체질량지수(BMI), 결과지를 열람할 수 있는 인터넷 주소 바로가기(URL)가 포함됐다.
질병청은 당일 사고를 인지하고 문자를 수신한 24명에게 자료 삭제를 요청하고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URL을 차단했다. 개인정보가 유출된 48명에게 전화와 문자 등으로 유출 항목과 시점·경위, 기관의 대응 조치 등을 알렸다. 통지는 유출 사고 후 72시간 이내 완료됐다.
이보다 앞선 지난 6월 25일에는 한국희귀질환재단 주관으로 개최된 '희귀질환 유전상담' 심포지엄에서 배포된 자료집 100부에 환자 개인정보 일부가 유출됐다. 자료집에는 환자 10명 이름과 의심되는 질환명, 검사 결과가 그대로 담겼다.
질병청은 "한국희귀질환재단과 개인정보 유출 경위를 파악하고 자료집을 회수했다"며 "개인정보가 유출된 환자에게 개별 연락해 상황을 설명하고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시스템에도 신고했다"고 설명했다.
김선민 의원은 "질병청은 민감한 질병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만큼 개인정보 관리에 더욱 노력해 정보 유출이 재발하지 않도록 시급히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23일 김선민 조국혁신당 의원이 질병청에서 제출받은 최근 3년간 개인정보 유출사고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질병청에서는 올 들어서만 개인정보 유출 사고 2건이 발생했다.
질병청은 지난 8월 1일 국민건강영양조사 1개 지역 조사 대상자 48명 전체 결과지가 담긴 문자를 24명에게 오발송했다. 문자에는 48명 이름과 성별, 연령, 체질량지수(BMI), 결과지를 열람할 수 있는 인터넷 주소 바로가기(URL)가 포함됐다.
질병청은 당일 사고를 인지하고 문자를 수신한 24명에게 자료 삭제를 요청하고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URL을 차단했다. 개인정보가 유출된 48명에게 전화와 문자 등으로 유출 항목과 시점·경위, 기관의 대응 조치 등을 알렸다. 통지는 유출 사고 후 72시간 이내 완료됐다.
질병청은 "한국희귀질환재단과 개인정보 유출 경위를 파악하고 자료집을 회수했다"며 "개인정보가 유출된 환자에게 개별 연락해 상황을 설명하고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시스템에도 신고했다"고 설명했다.
김선민 의원은 "질병청은 민감한 질병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만큼 개인정보 관리에 더욱 노력해 정보 유출이 재발하지 않도록 시급히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