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트라, 美 관세 대응 위한 '현장밀착형 지원체계' 가동

  • 범정부 협업 체계 '관세대응119 플러스' 개편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 사진코트라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 [사진=코트라]

정부·기관·기업이 합심해 미국 관세 파고를 넘어설 돌파구 마련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22일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가 산업통상자원부와 함께 미국 관세 조치에 대응하기 위한 '현장 밀착형 지원체계'를 가동했다.
 
이날 코트라는 서울 본사에서 '철강 파생상품 기업 지원 간담회', '관세 대응 설명회', '1:1 맞춤형 관세 상담회'를 잇따라 개최하며 미국 관세 정책으로 큰 어려움을 겪는 철강 파생상품 업계의 애로 사항을 청취하고, 범정부 차원의 해법을 제시했다.
 
코트라는 기존 산업부·코트라 운영 상담창구인 '관세 대응 119'를 유관기관이 함께 참여하는 범정부 협업 체계인 '관세 대응 119 플러스'로 격상한다. 이를 통해 글로벌 통상정책에 유기적으로 대응하여 기업 지원을 확대하고,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이번에 개편된 '관세 대응 119 플러스'는 △수출기업 관세 애로 의견서 미 관계 당국 제출 지원 △미 관세청 사전 심사제도(CBP E-ruling) 신청 컨설팅 등을 새롭게 지원 사격할 예정이다.
 
간담회와 함께 열린 철강 파생상품 설명회에는 200여 개사가 참여해 최신 미국 관세 동향과 대응 전략을 청취했다. 코트라는 '철강 및 파생상품 관련 미 관세 부과 조치 현황'을, 서울세관 등은 '수출기업 유의 사항'과 '관세 절감 대응 전략' 등에 대해 현장감 있는 정보를 공유했다.
 
또한 1:1 맞춤형 상담회에는 관세 애로 기업 100여 개사가 참가해 미국 및 한국 변호사, 관세사 상담을 통해 기업 개별 상황에 맞는 심층 자문을 받았다.
 
강경성 코트라 사장은 "수출 현장의 애로 사항을 듣고 해결하는 파수꾼 역할에 더해, 우리 기업이 글로벌 시장을 향해 뻗어 나가기 위한 든든한 디딤돌이 되겠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