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순직인정 못 받은 군인 3만8000명 재조사 검토

  • 백선희 의원 "미순직자 명예 회복·보훈 패러다임 전환 시급"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국방부가 3만8000명에 이르는 미순직자들의 명예 회복을 위한 재조사가 필요한지 검토에 들어갔다.
 
21일 군에 따르면 국방부는 미순직자의 재조사·심사·보상 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용역을 발주했다. 
 
미순직자는 군 복무 중 사망했으나, 순직(공무상 사망)으로 인정받지 못한 사람을 뜻한다. 변사·자살·병사·기타 일반사망 등 유형이 있다.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백선희 조국혁신당 의원이 국방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창군 이래 순직자와 전사자, 순직 심사 대기자를 제외한 미순직자는 2022년까지 3만8056명으로 집계됐다. 사망 유형별로 병사·변사 2만205명, 자살 1만2798명, 일반사망 5054명 등이다.
 
2020년대 들어서도 2020년 67명, 2021년 104명, 2022년 110명, 2023년 56명, 2024년 59명, 올해 현재까지 7명 등 미순직자는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그동안 순직 심사와 관련해서도 많은 변화가 있었다. 1985년 국방부 훈령으로 전공사상 처리 규정이 제정된 후 2000년대까지만 해도 자해 사망자는 순직으로 인정받을 수 없었다.
 
2014년 군인사법 개정으로 자해 사망자도 공무와 상당한 인과관계가 인정되면 순직으로 인정받을 수 있게 됐고, 입대 전 질병이 악화해 사망한 경우도 순직 분류 기준에 추가됐다.
 
국방부는 연구용역을 발주하면서 “점진적인 순직 기준의 완화로 질병 사망과 자해 사망도 순직 사유로 인정돼 재조사 후 현재의 기준으로 심사하면 순직으로 변경될 군 사망자가 다수”라며 사망 원인을 알 수 없이 누락된 미순직자도 존재한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아울러 1950년대 사망한 군인 유가족 대부분이 고령인 70세 이상으로 보상을 위한 ‘골든타임’이 임박한 점도 연구용역이 시급한 이유로 꼽힌다.
 
백선희 의원은 “국방의 의무를 다하다 세상을 떠난 미순직자들의 희생을 더는 외면해서는 안 된다”며 “우리 군이 진정한 ‘국민의 군대’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미순직자에 대한 명예 회복과 보훈 패러다임의 전환이 시급하다”고 짚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