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성락 "트럼프, 방한 예상...김정은 APEC 참석 가능성 없어"

  • 한국신문방송편집인 간담회서 외교·안보 현안 관련 입장 밝혀

  • 전략적 유연성 문제엔 "안전장치 있어"

  • "강경화 주미대사 아그레망 나왔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이 17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주최로 열린 초청 간담회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이 17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주최로 열린 초청 간담회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17일 다음 달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방한을 예상했다. 그러나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참석은 어려울 것으로 내다봤다. 또 한·미 관세협상과 관련해선 "타결이 불가능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위 실장은 이날 오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주최로 열린 초청 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위 실장은 APEC 정상회의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만날 가능성이 있느냐는 물음에 "트럼프 대통령은 방한할 것으로 기대하지만 아직 확정은 아니다"라고 했다. 그러면서 "김 위원장이 회의에 참석할 가능성은 없다고 봐야 한다"고도 했다.

위 실장은 한·미 관세협상 후속 진행 상황에 대해 상세 영역에서 이견이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 그는 다만 "(협상 타결시점을) 당장 말씀 못 드리겠지만 타결이 불가능하다고까진 생각하지 않는다. 접점을 찾을 수 있을 것이란 기대를 갖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협상에서) 중요한 것은 어떤 내용의 합의냐는 것"이라며 "실현 가능하고, 지속 가능해야 한다. 우리 국익을 적절한 범위 내에서 방어할 수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위 실장은 지연되고 있는 관세 협상이 안보 분야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선 "안보는 안보 패키지 내에서 나름 균형을 이루고 있고, 관세는 관세 내에서 균형을 이루려는 것"이라며 "관세 쪽 일이 어렵게 됐다고 해서 나쁜 영향이 밀려오는 것을 바람직하게 보지는 않는다"고 설명했다.

위 실장은 북한 비핵화 문제와 관련해 "한반도 비핵화는 한국이나 미국이 전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궁극적인 목표이며, 북한이 이를 좋아하든 싫어하든 그 목표에는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최근 이재명 대통령이 거론한 '중단-축소-비핵화' 3단계 접근법을 재확인한 셈이다.

그는 한·미동맹 현대화 논의의 핵심 쟁점 가운데 하나인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에 대해선 "넘지 말아야 할 양쪽의 좌표는 지켜가며 협의했기 때문에 이른바 안전장치가 어느 정도 있다"고 짚었다.

위 실장은 강경화 주미대사 내정자에 대한 아그레망(외교사절에 대한 주재국의 동의) 절차가 완료됐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