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극저신용대출은 단비 같은 지원…'2.0'으로 더 촘촘한 금융안전망 구축"

  • 상당수가 만기 연장 또는 분할상환 단계...실제 연체율은 30%대

  • '소비진작'+'취약계층 금융안전망' 두 축으로 민생 살릴 것

김동연 도지사 사진경기도
김동연 도지사. [사진=경기도]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극저신용대출 제도를 둘러싼 일부 언론 보도를 "명백한 오보"라고 반박하며 코로나 이후 어려워진 민생을 위한 ‘극저신용대출 2.0’ 시행을 공식화했다.

김동연 지사는 16일 안양에서 열린 ‘달달투어’ 도중 기자들과 만나 "민선7기 극저신용대출은 코로나로 가장 힘들었던 도민들에게 단비 같은 금융 지원이었다"며 "당시 약 11만 명이 혜택을 받았고, 그중 75%가 생계비로 사용했다는 통계가 있을 정도로 절실한 제도였다"고 말했다.

앞서 일부 언론은 해당 사업에 대해 "연체율이 74%에 이르고, 39%는 아예 연락이 두절됐다"고 보도한 바 있다.

이에 대해 김 지사는 "25%는 이미 완전 회수했고, 상당수는 만기 연장이나 분할 상환 중"이라며 "실제 연체율은 30% 후반대 수준에 불과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거처가 불분명했던 차주들을 점차 찾아내고 있어 앞으로 연체율은 더 낮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경기도는 민선8기 들어 극저신용대출 전담조직을 신설해 관리 강화와 함께 상담 서비스, 복지·일자리 연계 프로그램을 운영해왔다.

김 지사는 "약 5만 명이 상담을 통해 복지나 일자리와 연결되며 생계를 극복하고 재기의 발판을 마련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코로나 이후 경제가 정상화되면 관리에 집중하려 했지만, 지난해 12.3 불법계엄 사태와 민생 악화로 상황이 달라졌다"며 "‘극저신용대출 2.0’을 시행하겠다"고 선언했다.

새 제도는 기존 5년 상환에서 10년, 또는 100개월 이상 초장기 상환으로 확대하고, 소상공인·자영업자·취약계층·청년실업자 등으로 대상을 넓힐 예정이다.

김 지사는 "상담을 통해 복지 서비스와 일자리 알선을 병행해 도민들이 다시 일어설 수 있도록 하겠다"며 "민생회복 소비쿠폰으로 소비 진작을 돕고, 여기에 금융안전망을 촘촘히 구축해 두 축으로 민생을 살리는 기반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