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형 강소기업’은 서울 소재 공공기관 인증 중소기업 중에서 일·생활 균형 조직문화, 고용 안정성, 복지혜택이 우수한 기업을 엄선해 서울시가 인증하는 제도다. 현재 351개 기업이 서울형 강소기업으로 인증되어 맞춤형 지원을 받고 있다.
앞서 ‘서울형 강소기업’으로 인증을 받은 기업들은 서울시의 근무환경개선금과 맞춤형 교육을 활용해 매출 성장, 복지 확대, 청년 고용 안정 등 뚜렷한 성과를 내고 있다는 게 시의 설명이다.
이에 서울시는 올해 더욱 강화된 정성평가와 현장 실사를 거쳐 새로운 ‘서울형 강소기업’ 48곳을 발굴·인증했다.
특히 이번 모집에 앞서 시는 올해부터 평가와 선정 기준을 대폭 강화했다. △CEO 리더십과 기업 성장 가능성 △청년친화적 조직문화 실천 의지 등을 평가하는 ‘정성지표’를 신설하고, 현장실사단을 기존 2인(전문가1·청년1)에서 3인(전문가2·청년1)으로 확대해 서울형 강소기업 선정 평가의 공정성과 실효성을 높였다.
선정된 기업에는 청년 정규직 채용 시 1인당 최대 1500만원, 기업당 최대 4500만원의 근무환경개선금을 지원하며, 이러한 예산은 휴게·편의시설 확충, 조직문화 워크숍, 자기계발, 건강검진 등 사내 복지비로 사용할 수 있다.
주용태 서울시 경제실장은 “서울형 강소기업은 청년층에게는 ‘안심할 수 있는 일터’, 기업에는 ‘성장 기회’를 제공하는 정책”이라며 “앞으로도 서울시는 청년이 안심하고 오래 일할 수 있는 기업을 키워 지속 가능한 일자리와 성장 잠재력이 있는 기업 생태계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