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미 외교차관이 회담을 개최해 미국 조지아주 한국인 구금 사태에 대한 문제 해결과 비자 제도 개선 등에 대해 협의했다.
14일 외교부에 따르면 박윤주 외교부 제1차관은 이날 방한 중인 크리스토퍼 랜다우 미 국무부 부장관과 만나 조지아주 사건과 더불어 한·미 정상회담 후속조치, 지역 및 글로벌 정세 등에 대해 협의했다.
박윤주 차관은 회담 서두에 우리 기업 근로자들이 부당하게 미국 내 구금시설에서 감내해야 했던 불편한 처우에 대해 언급하며, "해당 근로자들뿐만 아니라 우리 국민들이 이번 사태로 인해 깊은 충격을 받았다"며 유감을 표했다. 이어 "미측이 우리 국민들의 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실질적인 재발방지 및 제도 개선 조치를 취해야 할 것"이라고 강하게 요청했다.
또 박 차관은 "지난달 성공적인 정상회담과 이번 구금 사태의 초동 대응 직후 이루어진 랜다우 부장관의 방한은 후속조치를 위한 논의뿐만 아니라 한·미 관계의 굳건함을 보여주는 시의적절한 방문"이라고 평가했다.
박 차관은 이번 구금 사태 해결 과정에서 "한·미 양 정상 간 형성된 유대관계와 양국의 호혜적 협력의 정신이 작용했음을 평가한다"고 하면서, "구체적으로 귀국자의 미국 재입국 시 불이익이 없어야 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한국 맞춤형 비자 카테고리 신설을 포함한 다양한 방안 논의를 위한 외교-국무부 간 워킹그룹 창설과 비자 관련 상담창구 개설 등 후속조치 이행에 박차를 가하자"고 덧붙였다.
이에 크리스토퍼 랜다우 부장관은 이번 사태가 일어나게 된 데 대해 깊은 유감을 표명하고, "이번 사태를 제도 개선 및 한·미 관계 강화를 위한 전기로 활용해 나가자"고 했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도 이 문제에 높은 관심을 갖고 있는 만큼 귀국자들이 미국에 재입국 시 어떠한 불이익도 없을 것"이며 "향후 어떠한 유사 사태도 발생하지 않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아울러 랜다우 부장관은 "한국 기업들의 대미 투자 활동이 미 경제·제조업 부흥에 대한 기여가 크다는 점을 절감하고 있는 만큼, 이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고 한국 근로자들의 기여에 합당한 비자가 발급될 수 있도록 박 차관이 언급한 후속조치 관련 실무협의를 속도감 있게 진행하자"고 했다.
양 차관은 9월 유엔총회, 10월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 등 다양한 국제행사 계기 한·미 고위급 외교 일정에 관해서도 논의했으며, 여러 계기를 활용해 지난 한·미 정상회담에서 논의된 조선, 원자력, 첨단기술 등 미래지향적 분야에서 보다 진전된 협력 성과를 도출함으로써 양국 국민이 피부로 느낄 수 있는 실질적 혜택을 창출해 나가자는 데 뜻을 같이했다.
또 양 차관은 한반도 및 역내 경제·안보 정세에 대해서도 의견을 교환했다. 박 차관은 한·미 정상회담에서 공감한 바와 같이 북한을 대화의 장으로 이끌어내기 위해 미측이 피스메이커, 한국이 페이스메이커로서 각자의 역할을 다해 나가자고 했다. 이에 대해 랜다우 부장관은 한국의 대북정책에 대해 잘 이해하고 있다고 하며, 향후 대북정책 관련 긴밀한 공조를 지속해 나가자고 했다.
조현 외교부 장관은 이날 한·미 외교차관회담에 앞서 랜다우 부장관을 접견하고, 유례없는 상황에서 박 차관과 동시에 미국을 전격 방문했다고 설명하면서 이번 구금 사태가 한국, 미국 모두에 윈-윈으로 귀결될 수 있도록 랜다우 부장관이 후속조치에 만전을 기해줄 것을 당부했다.
아울러 조 장관은 지난달 성공적으로 개최된 한·미 정상회담에서의 양 정상 간 합의사항이 신속하고 충실하게 구체적 조치로 이행될 수 있도록 랜다우 부장관이 직접 챙겨봐 달라고 독려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