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대출규제 강화에...집합건물 생애최초 매수 비중 역대 최대

사진연합뉴스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사진=연합뉴스]
올해 들어 매매된 전국의 아파트 등 집합건물 가운데 생애 최초 매수자의 거래 비중이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지난해 말 탄핵 정국부터 최근 대출규제까지 시장의 변수가 커진 상황에서 정책자금대출을 활용해 내 집 마련에 나선 수요자들이 늘어난 영향으로 풀이된다.

14일 대법원 등기정보광장에 공개된 집합건물(아파트·연립·오피스텔 등) 소유권 매매 이전등기 통계에 따르면 이날까지 등기가 완료된 1∼8월 전국 집합건물 65만9728건 가운데 생애최초 매수 건은 28만4698건으로 43.2%에 달했다. 집합건물 매수 10건 중 4건 이상을 생애 처음 주택 구입자가 사들인 것이다.

이는 지난해 동기간의 42.5%를 넘어선 것이며, 대법원에 관련 통계가 공개된 2010년 이후 1∼8월 기준으로 역대 최대 비중이다. 연간 통계와 비교해도 생애최초 거래 비중은 직전 최고치인 2013년의 43.1%를 넘어 조사 이래 가장 높은 수치다.

생애최초 거래 비중이 커진 것은 생애최초 주택구입자금이나 신혼부부·신생아 대출 등 정부 정책자금 대출 혜택이 많고, 1주택 이상 유주택자들과 달리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제한도 받지 않기 때문이다.

금융당국은 가계부채관리를 위해 작년에 이어 올해도 1주택자에 대해서는 주담대를 금지하고 있다. 그러나 생애 처음 주택 구입에 나서는 무주택자들은 이런 제한을 받지 않는다.이와 함께 금리 인상, 전세 사기 등으로 연립·다세대나 오피스텔 등 비아파트에 대한 투자수요가 축소된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올해 1∼8월 서울의 생애최초 매수 비중은 약 38%로, 2014년 38.8% 이후 11년 만에 가장 높았다. 거래 건수로는 4년 만에 최다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생애최초 집합건물 소유권 이전 등기 건수는 28만4698건으로, 집값 급등기였던 2021년 36만1750건 이후 가장 많았다. 전국의 등기 건수(65만9728건)도 2021년(104만459건)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최근 유주택자에 대한 대출 규제가 계속해서 강해지면서 생애최초주택 구매자에게 유리한 환경이 조성됐고, 매수 비중 증가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며 "향후 다주택자에 대한 세 부담이 늘어나게 되면 구매 비중 격차는 더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