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촌공간 재구조화 및 재생 기본계획은 농촌의 난개발과 경제적·사회적·환경적 불균형으로 인한 농촌소멸 위기에 대응해 삶터·일터·쉼터로서의 농촌다움 회복과 국토의 균형발전을 도모하는 10년 단위 중장기 계획이다.
이는 지난해 3월 29일 시행된 ‘농촌공간 재구조화 및 재생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수립해야 하는 법정계획으로, 군은 2024년 8월 농림축산식품부가 선정한 5개 시범 수립 시·군에도 포함됨에 따라 지난해부터 선도적으로 추진해왔다.
기본계획에는 ‘생활, 정주, 경제가 융합되는 모두가 행복한 상생순창’을 비전을 바탕으로 6개의 추진전략과 13개의 다양한 추진과제를 담았다.
특히 순창읍과 떨어져 있어 서비스 이용이 어려운 북서부지역(복흥·쌍치·구림면)의 복지·문화 등 생활서비스 기능을 강화하고, 군 내의 배후마을의 인구 과소화에 대응하여 16개 작은 거점육성에도 중점을 뒀다.
아울러 군은 지난 3월 110억원 규모의 농촌특화지구 공모사업 선정, 5월 370억원 규모의 농촌협약 공모사업에 전북에서 유일하게 선정되는 등 변화의 흐름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군 전역이 고르게 성장할 수 있는 발판도 마련했다.
최영일 군수는 “이번 기본계획수립은 보다 효율적인 우리군의 10년을 내다보는 청사진으로 지속 가능한 농촌다움을 회복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될것”이라며 “지역주민과의 지속적인 소통을 통해 내실있는 계획으로 농촌공간 재구조화가 성공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군은 농촌공간 재구조화 및 재생 시행계획 선도 시·군으로 기본계획에서 도출한 북서부재생활성화지역(복흥·쌍치·구림) 및 농촌특화지구 세부지정 등에 대해 주민․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한 최종 시행계획을 오는 12월까지 확정할 예정이다.
순창장류축제 내 소상공인과 함께하는 ‘동행 축제’ 참여업체 모집

올해 장류축제는 성년을 맞이하는 20주년을 기념해 단순한 관광 축제를 넘어 지역경제 활성화와 군민 소득 창출로 이어지는 축제로 기획됐다.
이에 따라 군은 음식점, 카페, 개인 서비스업 등 관내 소상공인의 자율적 참여를 유도해 지역과 군민이 함께하는 상생의 축제 분위기를 조성할 계획이다.
‘동행 축제’에 참여하는 업체는 축제 기간 동안 순창을 찾는 관광객을 대상으로 자율적인 할인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지역 상권 활성화는 물론, 관광객에게는 합리적인 가격에 지역의 맛과 멋을 즐길 수 있는 기회를 맞게 된다.
참여 신청은 오는 19일까지 가능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