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11동 고용노동부. 2023.10.13[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은 12일 '인공지능(AI) 산업전환과 일자리' 포럼 출범식 및 1차 회의를 열고, AI가 노동시장에 미칠 영향을 점검하고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포럼은 인공지능 발달이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현장 사례를 통해 점검하고 산업구조와 고용형태의 근본적 변화에 대응할 중장기 고용노동 정책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포럼에는 AI 전문가와 고용노동 분야 전문가 13명이 참여했다.
첫 회의에서는 'AI 기술 발전 현황과 노동시장 영향'과 '정부의 AI 전환 대응 정책'을 주제로 발표와 토론이 진행됐다.
김유철 LG AI연구원 전략부문장은 "AI 시대에 맞는 직무 재정의와 재교육은 전문인력 양성과 함께 매우 시급한 과제"라고 짚었다. 김득중 정보통신산업진흥원 부원장은 "미·중 기술패권 대립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새 정부는 AI 3대 강국을 목표로 기술 기반 시설 강화와 산업 분야 지원을 균형 있게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포럼은 앞으로 월 1~2회 정기적으로 열릴 예정이다. 노동부는 기업·행정 현장의 AI 활용 사례와 인재 양성, 인사노무 관리 쟁점, 사회안전망, 고용노동 서비스 개선 등을 주제로 논의를 이어갈 방침이다. 이를 토대로 'AI 대응 일자리정책 로드맵(가칭)' 수립에도 참고할 계획이다.
노동부는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AI 실무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AI 등 신기술 중심의 직업훈련을 더욱 강화한다. 이를 위해 2026년 예산안에는 AI 등 첨단산업·디지털 핵심 실무인재 5만명을 양성하고 AI 훈련을 위한 기반 시설 확충, 중소기업의 AI 기초·융합 과정을 지원하는 내용 등이 반영됐다.
김 장관은 "AI는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기회인 동시에 기존 일자리의 변화와 대체를 불러올 수 있는 도전"이라며 "기술 발전의 흐름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고용 충격을 최소화하고 일하는 사람이 새로운 기술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직업훈련을 강화해 누구나 공정하고 안전한 노동환경을 보장받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포럼은 인공지능 발달이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현장 사례를 통해 점검하고 산업구조와 고용형태의 근본적 변화에 대응할 중장기 고용노동 정책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포럼에는 AI 전문가와 고용노동 분야 전문가 13명이 참여했다.
첫 회의에서는 'AI 기술 발전 현황과 노동시장 영향'과 '정부의 AI 전환 대응 정책'을 주제로 발표와 토론이 진행됐다.
김유철 LG AI연구원 전략부문장은 "AI 시대에 맞는 직무 재정의와 재교육은 전문인력 양성과 함께 매우 시급한 과제"라고 짚었다. 김득중 정보통신산업진흥원 부원장은 "미·중 기술패권 대립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새 정부는 AI 3대 강국을 목표로 기술 기반 시설 강화와 산업 분야 지원을 균형 있게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노동부는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AI 실무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AI 등 신기술 중심의 직업훈련을 더욱 강화한다. 이를 위해 2026년 예산안에는 AI 등 첨단산업·디지털 핵심 실무인재 5만명을 양성하고 AI 훈련을 위한 기반 시설 확충, 중소기업의 AI 기초·융합 과정을 지원하는 내용 등이 반영됐다.
김 장관은 "AI는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기회인 동시에 기존 일자리의 변화와 대체를 불러올 수 있는 도전"이라며 "기술 발전의 흐름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고용 충격을 최소화하고 일하는 사람이 새로운 기술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직업훈련을 강화해 누구나 공정하고 안전한 노동환경을 보장받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