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전 대통령이 일으킨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외환 의혹을 수사하는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수사 기간을 한차례 연장했다. 동시에 '계엄 해제 표결 방해 의혹'과 관련해 서범수·김희정·김태호 국민의힘 의원에 대해 공판 전 증인신문을 청구했다.
박지영 특검보는 11일 서울 서초구 서울고검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특검은 내란 특검법 10조 3항에 따라 주어진 수사 기간 90일로부터 30일을 연장하기로 결정하고 그 사유를 국회와 대통령에게 서면 보고했다"고 말했다.
지난 6월 18일 개시된 특검수사는 오는 9월 15일 만료 예정이었으나 연장이 이뤄지면서 내달 15일까지 수사가 가능해졌다. 박 특검보는 연장 사유에 대해 "진행 중인 수사가 남아 있고 압수수색 자료 분석도 계속되고 있다"는 점을 들었다.
이날 특검팀은 서울남부지법에 서범수·김희정·김태호 의원의 증인신문을 청구했다. 세 사람은 지난 2022년 12월 국민의힘 지도부 만찬 및 계엄 해제 표결 당시 현장에 있거나 당 지도부와 긴밀히 연락한 인물들로 알려졌다.
이들은 모두 참고인 출석을 거부했다. 특검 관계자는 "서 의원은 당시 사무총장으로 본회의장 상황을 잘 알고 있고, 김희정·김태호 의원도 원내대표실과 당사에서 상황을 파악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이 언제부터 비상계엄을 구상했는지 규명하기 위한 작업의 일환으로 이들에 대한 조사에 돌입했다. 특검은 2022년 12월 지도부 만찬 자리에서 나온 '비상계엄' 발언을 초기 정황으로 보고 있으며, 참석자 조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검 측은 "비상계엄 발상 시점을 확인하는 것은 진상규명의 핵심"이라며 "공소장 변경에도 연결될 수 있는 중요한 사안"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김건희 여사와 관련된 각종 의혹을 수사 중인 민중기 특별검사팀은 55일간 도피 생활을 이어가다 전날 목포에서 체포한 이기훈 삼부토건 부회장 겸 웰바이오텍 회장에게 11일 구속영장을 청구하기로 했다.
삼부토건 주가조작 의혹 사건의 핵심 인물인 이 부회장은 지난 7월 17일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에 출석하지 않고 도주·잠적했다가 전날 특검팀에 체포됐다.
특검에 따르면 이 부회장은 체포 당시 휴대전화 5대, 데이터 에그 8대, 데이터 전용 유심 7개를 소지하고 있었다. 그는 지난 7월 말부터 가평, 울진, 충남, 하동 등 전국을 돌며 펜션을 전전하다가 8월 초 목포 빌라에 단기 임대 계약을 맺고 은거해온 것으로 드러났다.
특검팀은 이 부회장의 도피를 도운 주요 조력자 8명을 특정해 출국금지 조치했으며 차량 제공, 계약 대리, 자금 지원 등 범인도피 혐의를 집중 조사할 예정이다.
특검은 이 부회장을 상대로 도주 경위와 혐의 연관성을 조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에 따르면 이 부회장은 이날 조사에서 진술 거부권을 행사하지 않았고, 삼부토건·웰바이오텍 주가조작 의혹과 관련한 일부 진술을 했다. 특검은 두 회사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고, 이 부회장이 양측을 잇는 핵심 인물이라고 보고 관련 수사를 이어갈 계획이다.
한편 특검팀은 이날 통일교 등 7곳에 대한 압수수색에도 나섰다. 특검은 통일교에 적용될 혐의를 두고 "정당법 위반이 포함된 것은 확인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