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상황에 누르면 경찰출동…'내 가게 지키는 안심경광등' 추가 신청

  • 5월 1차 신청 이어 2차 모집...비상벨 누르면 점멸등·사이렌 작동

2025 안심경광등 2차모집 포스터 사진서울시
2025 안심경광등 2차모집 포스터. [사진=서울시]
서울시가 혼자 일하면서 불안한 상황에 놓이기 쉬운 ‘나홀로 사장님’의 안전을 위해 ‘내 가게 지키는 안심경광등’ 추가 신청을 받는다고 9일 밝혔다.

앞서 5월 1차 신청에 이은 2차 신청으로, 11일 오전 10시부터 24일 18시까지 서울시 누리집에서 신청하면 된다.

‘내 가게 지키는 안심경광등’은 사장님이 휴대할 수 있는 ‘비상벨’, 점멸등과 사이렌 소리로 외부에 위기 상황을 알리는 ‘경광등’, 경찰 신고로 연결되는 ‘스마트허브’ 등으로 구성된 1인점포용 안심 세트다.

긴급상황이 발생했을 때 ‘비상벨’을 누르면 가게 외부의 ‘경광등’에서 점멸등이 켜지며 사이렌 소리가 울린다. 동시에 자치구 CCTV 관제센터에는 긴급신고가 접수되어 관제센터에서 점포위치 및 인근 CCTV 등을 확인 후 센터 내 상주 경찰이 인근 순찰차 등에 출동을 요청하는 방식이다.

또한 서울시 ‘안심이앱’에 미리 지정한 보호자(최대 5명)에게 긴급상황 알림 문자가 발송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1인점포의 안전을 보호한다.

지난해 7월 도입 이후 안심경광등을 통한 긴급신고는 꾸준히 이어지고 있으며, 취객 난동이나 침입자 발생 같은 상황에서 안심경광등을 통해 경찰이 현장에 출동해 문제를 해결한 사례도 33건이 있었다. 실제 안심경광등 사용자의 84.5%가 설치 후 두려움이 완화됐다는 응답결과가 나왔다. 

서울시는 지난해 안심경광등을 전국 최초로 선보인 이후 사장님들의 큰 호응이 이어지고 있는 만큼, 올해 지원 규모를 2배로(2024년 5000세트→2025년 1만세트) 확대했다. 
 
위험 상황시 누르는 비상벨의 크기를 주머니에 휴대할 수 있을 정도로 작은 크기로 줄여 휴대성을 높였고, 비상벨과 경광등의 배터리 잔량을 ‘안심이앱’에서 확인할 수 있는 기능도 추가됐다.
 
마채숙 서울시 여성가족실장은 “지난해 안심경광등 조기 마감에 이어, 휴대용 비상벨인 안심헬프미의 인기를 보면서 시민들이 일상에서 느끼는 안전 위협이 얼마나 큰지 체감했다”며 “올해 안심물품 지원 규모가 확대된 만큼, 이번에 많은 나홀로 사장님들이 신청하셔서 혼자서도 안심하고 근무하실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