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의 이시바 시게루 총리가 자민당 총재직 사임을 밝히며 총리 취임 11개월 만에 퇴임 의사를 공식적으로 밝혔다.
7일 교도통신 등 일본 주요 매체들은 이시바 총리가 이날 오후 총리 관저에서 연 기자회견에서 사퇴의사를 밝히며 "새로운 (자민당) 총재를 뽑는 절차를 개시해 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이시바 총리는 "미국과 관세 협상이 일단락된 지금이 퇴진할 적절한 시기라고 생각했다"며 "후진에게 길을 양보하는 결단을 내렸다"고 밝혔다.
그는 미일 관세 협상과 관련해 "이번 합의로 우리나라(일본) 경제 안전보장 확보와 경제성장 가속을 추진할 주춧돌이 만들어졌다"면서도 "이것으로 결말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이어 "작년 9월 자민당 총재 선거에서 뽑아준 많은 분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해 정말로 부끄럽다"면서 "지난 7월 참의원(상원) 선거 패배 책임은 자신에게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시바 총리는 최근 불거진 집권 자민당의 비자금 스캔들을 언급하며 "국민 불신을 아직 불식하지 못했다"라며 "가장 마음에 걸린다"고 말하기도 했다.
이날 이시바 총리는 재임 기간 외교 성과를 언급하며 한일 정상회담에 대한 소감을 밝히기도 했다. 그는 "이재명 대통령과 결실 있는 회담을 했다"며 "아시아 여러 나라와 연대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일미 동맹을 더욱 심화하고 우호국과 연대도 강화했다"고 덧붙였다.
작년 10월 총리에 취임한 이시바 총리는 같은 달 중의원(하원) 선거, 지난 6월 도쿄도 의회 선거에 이어 7월 20일 참의원 선거에서도 집권 여당인 자민당이 패배하면서 당내에서 퇴진 압박을 거세게 받았다.
그러나 이시바 총리는 국정 공백이 생기면 안된다는 논리를 내세워 총리직 재임 의사를 밝혔으나 최근 자민당이 '리콜 규정'을 통해 조기 총재 선거 실시 여부를 묻자 전격적으로 사임 의사를 표명했다.
그는 이번 결정을 두고 "고뇌의 결단"이었다며 "조기 총재 선거 실시 여부에 대한 의사 확인 절차가 이뤄지면 당내에 큰 분열이 일어날 수도 있다고 생각했다"는 심경을 밝혔다.
앞으로 이시바 총리는 자민당 총재 선거와 직후 총리 지명선거를 통해 새 일본 총리가 탄생하면 총리직에서 물러날 것으로 보인다.
그는 차기 선거를 언급하며 "새로운 총재가 뽑힐 때까지는 국민에 대한 책임을 착실하게 수행해 새로운 총재, 총리에게 이후를 부탁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7일 교도통신 등 일본 주요 매체들은 이시바 총리가 이날 오후 총리 관저에서 연 기자회견에서 사퇴의사를 밝히며 "새로운 (자민당) 총재를 뽑는 절차를 개시해 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이시바 총리는 "미국과 관세 협상이 일단락된 지금이 퇴진할 적절한 시기라고 생각했다"며 "후진에게 길을 양보하는 결단을 내렸다"고 밝혔다.
그는 미일 관세 협상과 관련해 "이번 합의로 우리나라(일본) 경제 안전보장 확보와 경제성장 가속을 추진할 주춧돌이 만들어졌다"면서도 "이것으로 결말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특히 이시바 총리는 최근 불거진 집권 자민당의 비자금 스캔들을 언급하며 "국민 불신을 아직 불식하지 못했다"라며 "가장 마음에 걸린다"고 말하기도 했다.
이날 이시바 총리는 재임 기간 외교 성과를 언급하며 한일 정상회담에 대한 소감을 밝히기도 했다. 그는 "이재명 대통령과 결실 있는 회담을 했다"며 "아시아 여러 나라와 연대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일미 동맹을 더욱 심화하고 우호국과 연대도 강화했다"고 덧붙였다.
작년 10월 총리에 취임한 이시바 총리는 같은 달 중의원(하원) 선거, 지난 6월 도쿄도 의회 선거에 이어 7월 20일 참의원 선거에서도 집권 여당인 자민당이 패배하면서 당내에서 퇴진 압박을 거세게 받았다.
그러나 이시바 총리는 국정 공백이 생기면 안된다는 논리를 내세워 총리직 재임 의사를 밝혔으나 최근 자민당이 '리콜 규정'을 통해 조기 총재 선거 실시 여부를 묻자 전격적으로 사임 의사를 표명했다.
그는 이번 결정을 두고 "고뇌의 결단"이었다며 "조기 총재 선거 실시 여부에 대한 의사 확인 절차가 이뤄지면 당내에 큰 분열이 일어날 수도 있다고 생각했다"는 심경을 밝혔다.
앞으로 이시바 총리는 자민당 총재 선거와 직후 총리 지명선거를 통해 새 일본 총리가 탄생하면 총리직에서 물러날 것으로 보인다.
그는 차기 선거를 언급하며 "새로운 총재가 뽑힐 때까지는 국민에 대한 책임을 착실하게 수행해 새로운 총재, 총리에게 이후를 부탁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