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대통령이 오는 11일 취임 100일을 맞는다. 이 대통령은 그동안 국민과의 '소통'을 강화하며 '불통' 지적을 받았던 전임 정부와 차별화된 모습을 보여 왔다. 이러한 영향으로 복수의 여론조사에서 국정 지지율이 60%대를 기록하며 역대 대통령 취임 100일 지지율 중 상위권에 오르는 등 국정 운영이 순항하고 있다.
지난 100일간 이재명 정부의 가장 두드러진 성과는 소통 강화다. 이 대통령은 지난 6월 광주를 시작으로 전국을 돌며 타운홀 미팅을 이어가고 있다. 직접 현장을 찾아 국민 목소리를 듣고 민생 현안을 챙기는 모습은 이 대통령의 최대 강점으로 꼽힌다.
무엇보다도 이례적으로 빠른 소통 행보가 경쟁력으로 분석된다. 이 대통령은 취임 30일 만에 기자회견을 열었다. 통상 대통령 기자회견이 100일을 기점으로 열리는 것과 달리 파격적인 행보였다. 또 협치를 위한 영수회담도 조기 시행됐다.
전임 정부에서 야당 대표였던 이 대통령은 영수회담을 하기까지 720일이 소요됐다. 반면 이 대통령은 국정 초반부터 야당과 대화를 주도하고 있다. 8일 진행되는 영수회담 역시 야권의 요구를 상당 부분 수용했다. 여야 대립이 극을 달하는 상황에서 협치의 기반을 마련한 것으로 평가된다.
다만 특별사면과 인사 문제는 발목을 잡았다. 대표적으로 광복절 특사는 거센 후폭풍을 맞았다. 이 대통령은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와 최강욱·윤미향 전 의원을 이번 특사에 포함했다. 이는 '민생 경제 사면'이라는 초기 방침에서 벗어나 정치권으로부터 비판을 받았다.
특히 사면 대상이 된 정치인들이 최근 조국혁신당 성 비위 사태와 얽히면서 여야 모두로부터 사면의 적절성에 대한 질타가 나왔다. 이에 이 대통령이 '국민 통합'을 내세워 정치인 사면을 결단했지만, 오히려 조기 사면으로 사회적 갈등을 키웠다는 지적을 받는다.
인사 문제도 도마 위에 올랐다. 정부 첫 낙마자인 오광수 전 대통령실 민정수석은 각종 부정 의혹과 도덕성 문제가 제기되자 스스로 물러났다. 그러나 최근 한학자 통일교 총재의 전관 변호인단에 합류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정부의 인사 실패 문제가 다시 불거지게 됐다.
또 이진숙 전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자녀 조기유학과 논문 표절 의혹으로 낙마했고, 강선우 의원은 보좌진 갑질 논란으로 헌정사상 현역 의원 최초의 장관 낙마 사례를 남겼다. 여기에 국정기획위원회에서 활동한 이춘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차명 주식 거래 의혹에 휘말리면서 정부 인사 검증 시스템의 미흡함과 인사 운영의 불투명성에 대한 불신을 키웠다는 비판도 나온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