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인사·성주사 불상 2건, 보물 지정...고려-조선 불교미술의 정수

좌측부터 해인사금동지장보살좌상해인사금동관음보살좌상사진경남도
좌측부터 해인사금동지장보살좌상,해인사금동관음보살좌상[사진=경남도]

경상남도가 '합천 해인사 금동관음·지장보살이존좌상 및 복장유물'과 '창원 성주사 석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을 국가지정문화유산인 보물로 지정했다고 5일 밝혔다.

이번에 보물로 지정된 이 문화유산들은 각각 고려 후기와 조선 후기를 대표하는 불교조각 작품으로, 예술적·학술적 가치가 매우 높아 국가지정문화유산으로서의 보존 가치가 크다는 평가를 받았다.

합천 해인사 금동관음·지장보살이존좌상 및 복장유물은 발원문을 통해 원래 성주 법림사 대장전에 봉안하기 위해 1351년에 조성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처럼 명확한 제작 연대는 고려 후기 불교 조각의 도상과 양식을 밝히는 데 중요한 기준작이라는 점에서 학술적 가치가 크다.

법림사 폐사 이후 해인사로 옮겨진 것으로 추정되며, 현재는 해인사 구광루에 모셔져 있다. 관음과 지장보살로 구성돼 현세와 내세의 구복적인 두 가지 신앙이 강조된 작품으로, 고려시대 관음·지장 신앙의 일면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로 미술사적으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창원 성주사 석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은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한 승호(勝湖)를 비롯한 조각승들이 1681년에 완성해 성주사에 봉안했다.

승호가 제작한 불석(佛石, 제올라이트) 명부조각 중 규모가 가장 크며, 17세기 후반을 대표하는 작품으로 손꼽힌다. 제작 당시의 완전한 구성을 유지하면서 봉안 당시부터 현재까지 원 위치에 보존되고 있다는 점에서도 역사적 의미가 매우 크다.

이진희 경남도 문화유산과장은 “도내 학술적·예술적 가치가 높은 문화유산을 지속적으로 발굴해 국가지정문화유산(보물) 지정을 통한 체계적인 보존·활용이 이뤄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