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안보실, 사이버안보 현안 점검회의 개최…10개 부처 참여

  • "고도화되는 사이버 위협 대응"…'범부처 정보보호 강화 방안' 논의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사진연합뉴스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사진=연합뉴스]
국가안보실이 최근 주요 사이버 침해 사고에 대한 대응 현황을 점검하고, 국가 정보 보호 역량 강화를 위한 범부처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사이버안보 현안 점검회의’를 개최했다.

1일 대통령실에 따르면 이날 회의는 오현주 안보실 3차장 주재로 열렸으며, 국가정보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외교부, 국방부, 행정안전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금융위원회, 개인정보위원회, 경찰청 등 10개 부처가 참여했다.

안보실은 새 정부 출범 후 SKT 해킹 사고 관련 재발 방지 대책을 관계 부처와 마련했고, 서울보증보험·예스24 랜섬웨어 감염, 정부 시스템 대상 사이버 공격 등 최근 발생한 주요 사이버 공격에 집중 대응해 왔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과 관련해 국민들의 악성 스미싱 피해 방지를 위한 노력을 전개했고,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와 관련된 기관·시스템 보안도 강화하고 있다. 

을지연습 기간에는 국가 차원의 유기적 사이버 공격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해 안보실 중심으로 민·관·군 합동 사이버 위기 대응훈련을 실시하기도 했다.

이날 점검회의에서는 AI(인공지능)를 기반으로 지능화·고도화되는 사이버 위협에 대응할 정보 보호·사이버 안보 강화 방안이 논의됐다.

민간·공공의 핵심 인프라와 중소기업 등 사회 전 분야의 보안 수준을 제고할 방안, AI 기반 공격, SW 공급망 위협 등 신 사이버 위협에 대응할 제도 개선 방안, 기업·기관의 정보보호최고책임자(CISO) 및 개인정보보호최고책임자(CPO)의 책임성을 강화할 방안 등이 주로 다뤄졌다.

또 지속적인 사이버 보안 역량 강화를 위해 국가 배후 해킹 조직 대상 능동적 방어 기반을 구축하고 주요국과 국제 협력을 공고히 하는 한편 정보 보호 산업 육성과 인력 양성 및 기술 개발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하며 구체적 정책 과제를 마련해 시행키로 했다. 

오현주 차장은 “AI의 발전과 함께 사이버 위협도 지능화·고도화되고 있으며, 민생의 안정과 기업의 생존, 그리고 국가의 안보를 위해서는 사이버 보안이 반드시 담보돼야 한다”며 “안보실은 관계 부처와 함께 사이버 복원력 강화를 위해 필요한 정책을 마련해 추진고 강조했다. 

안보실은 향후에도 점검회의를 갖고 사이버 안보 관계 부처들과 사이버 위협 대응, 주요 정책 현안을 수시로 논의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