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8일 고양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 7월 14일 경기도에 ‘시청사 백석 이전 투자심사’를 요청했다.
고양시는 고양시의회가 2018년 의결했던 공유재산관리계획상 ‘백석 업무빌딩을 벤처타운 및 공공청사 등 공공 목적으로 활용’ 내용을 반영하기로 했다.
당초 고양시는 시청의 모든 부서를 입주키로 했으나, 경기도가 고양시 의회와 협의가 안 됐다는 이유로 3회에 걸쳐 투자심사를 보완 및 반려를 조치했다.
현재 주교동과 성사동에 걸쳐 8개의 외부 민간 건물에 임대해 있는 부서는 물론 기존 사업부서 등 모두 37개 부서만 백석 업무시설로 이전시키고 시장실과 부시장실, 기획조정실, 자치행정국, 기타 직속부서 등 핵심부서들은 그대로 현재 주교 청사에 남게 된다. 백석 업무시설의 절반 이상은 시의회가 요구한 벤처기업들로 모두 채울 방침이다.
백석 업무빌딩은 연면적 6만6189.51㎡(약 2만평) 규모의 20층과 13층 2개 타워로 2년여간 대부분 공실로 방치된 채 있다. 고양시의회에서는 지난 2018년 공유재산관리계획을 승인할 때 백석 업무빌딩이 활용되면 협소한 청사 문제를 해소하고, 임대료 절감에 따른 예산의 절감 효과 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임대료 등으로 매년 약 13억원이 지출되는 민간건물 임차부서의 임차기간은 올해 말 대부분 만료되므로 예산절감을 위해서도 백석빌딩으로 이전은 꼭 필요한 상황이다.
백석 업무빌딩을 벤처기업 집적시설 등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경기도 투자심사 신청이 통과돼야 한다. 건물의 구조보강과 전기·통신 용량을 증설하고 화장실 등 편의시설을 확충해야 하기 때문이다.
투자심사가 통과되더라고 설계와 공사입찰 등 1년 가까이 소요되고 보강공사는 빨라야 1년 이상이 소요될 전망이다.
고양시 관계자는 “백석 업무빌딩과 관련한 시의 재정손실은 경기도민인 고양시민의 손실”이라며 “경기도·고양시의회의 대승적 결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