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전통시장 특화상품 지원 사업’은 상권별 차별화된 특화상품을 육성해 전통시장 자생력을 강화하기 위한 사업으로, 설명회에서는 전반적인 사업 실무와 집행 절차 등을 안내했다.
경상원은 지난 5월 1차 모집공고로 △중동사랑시장(지역 특산물 활용 신규 밀키트 개발) △죽산시장(곱창거리 특화 밀키트 개발) △의정부역지하상가(먹거리·마실거리 특화상품 개발) △통복시장(지역 특산물 활용 건강 조청 개발) 총 4개소를 선정했다.
이어 지난달 2차 모집공고로 △수원 구매탄시장 △남양주장현 전통시장 총 2개소를 추가 선정하고 개소당 1억원(도비 100%)을 투입해 신규 상품개발, 기존 상품 활성화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경상원 김민철 원장은 "치열한 경쟁 환경에서 전통시장이 살아남기 위한 핵심은 상권별 차별화된 상품의 경쟁력"이라며 "이번 2차 사업을 통해 전통시장의 잠재력을 깨우고 새로운 소비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전했다.
경기도주식회사와 함께 소공인 온라인 기획전 ‘소장가치 전(展)’ 개최

‘소장가치 전(展) : 소공인의 장인정신, 가치있는 소비 전(展)’은 경기도 내 우수 소공인 제품의 온라인 판로를 확대해 대국민 홍보를 강화하고자 올해 처음 열리는 특별 기획전으로, 경기도주식회사가 운영하는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내 특별관에서 진행된다.
특별전에서는 도내 소공인의 경쟁력 있는 제품을 한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다. 의류, 생활용품, 식품, 공예품 등 총 10개 업체가 참여해 자체 기술과 디자인으로 제작한 제품 80여 개를 선보인다.
경상원은 온라인 판매 경험이 부족한 소공인들을 위해 광고, 홍보 등을 지원해 실제 매출 증가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속 가능한 온라인 비즈니스 기반을 마련할 예정이다.
경상원 김민철 원장은 "이번 온저라인 특별전을 통해 소공인 제품이 전국 소비자에게 쉽게 다가갈 수 있게 됐다"라며 "앞으로도 도내 소공인의 온·오프라인 판로를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을 적극 고민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소장가치 전(展)’은 8월 15일부터 11월 15일까지 경기도주식회사 네이버 스마트스토어에서 진행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