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취임 후 첫 한·미 정상회담] "현실적 목표는 손해 최소화…다양한 시나리오 대비해야"

  • 전문가들, 공통으로 '동맹의 현대화' 주목

  • "최대한 '0'에 가까운 결과 내는 것 성과"

  • 관세 현안·북한 문제 등 논의 진행될 수도

  • 방일 가능성에 "美, 한·일 협력 매우 중시"

이재명 대통령왼쪽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왼쪽)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 취임 80여일 만에 열리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첫 정상회담에서는 안보와 통상 등 민감한 현안들이 폭넓게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안보 분야에 강조점을 두면서도 다양한 경우의 수에 대비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전문가들이 12일 아주경제와 통화에서 공통적으로 주목하는 의제는 '한·미 동맹 현대화'다. 최근 미국이 해당 주제를 전면에 내세운 만큼 주한미군의 역할 변화, 한국군의 책임 증대, 국방비 증액,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문제 등을 포괄하는 '안보 청구서'를 내밀 수 있다는 설명이다. 

박원곤 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는 "이번 회담의 현실적 목표는 손해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최대한 '0'에 가까운 결과를 끌어내는 것이 성과가 될 수 있다"며 "가장 중요한 것은 안보"라고 짚었다.

민정훈 국립외교원 교수 역시 이번 회담에 대해 "실무 방문 성격이지만, 양국 정상이 만나는 만큼 다양한 사안이 논의될 것"이라며 "그중에서도 동맹 현대화가 가장 중요한 이슈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이신화 고려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도 "트럼프 대통령과 회담에서 다양한 시나리오에 대비한 전략이 필요하다"면서 "동맹의 현대화를 우리 (정부가) 어떻게 받아들일지가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최근 타결된 한·미 관세 현안도 협상 테이블에 오를 가능성이 높다. 민 교수는 "3500억 달러 규모의 투자와 관련해 구체적인 실행 방안에 대한 확인이 이뤄질 수 있다"며 현재 모호하게 남아 있는 합의 내용을 조율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아울러 "미국이 한국에 대한 대북 방어 의지를 재확인하고, 한국은 북·미 대화를 지지한다는 메시지가 공동성명에 포함될 수 있다"고도 말했다. 한·미 양국이 북한과 대화의 물꼬를 트려는 만큼 북한 관련 사안도 주요 의제로 다뤄질 수 있다는 의견이다. 

다만 이 교수는 "북한과 미국 모두 한국을 필수적인 당사자로 보지 않는 상황"이라며 이 같은 논의가 실질적인 진전이 이뤄질 수 있을지 여부에는 회의적인 입장을 보였다.

아직 세부 일정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한·미 정상회담 전 방일 가능성이 높게 점쳐지며 대미 외교 측면에서 한·일이 협력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된다.

이와 관련해 이 교수는 "(한·일 양국이) 협력을 강화하겠다는 메시지를 주면 우리가 미국만 대하는 것보단 나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민 교수는 "미국은 한·일 협력을 매우 중시한다"며 "그런 부분에서 메시지를 던져줄 수 있을 것"이라고 관측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