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률 1% 청신호] 이창용 "관세협상 잘돼 8월 금리결정 부담 덜어"…동결 시그널?

사진한국은행
7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구윤철 경제부총리(왼쪽)와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회동하고 있다. [사진=한국은행]
한국 경제의 성장률이 1%로 일어설 것이란 기대감이 커지면서 한국은행의 어깨가 한결 가벼워졌다. 금리 인하 딜레마에 빠졌던 한은이 8월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 방향 회의에서 한 차례 더 쉬어가며 수도권 집값과 미국의 9월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을 살펴볼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7일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을 만나 미국과의 관세협상이 타결된 것에 대해 "이달 말 통화정책 방향 회의 전에 관세가 잘못되거나 하면 어려운 상황에 처할 것으로 생각했는데 협상이 잘 돼서 8월 통방의 큰 부담을 덜었다"고 말했다. 구 부총리는 "1% 성장률 달성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화답했다.

이 총재의 발언을 두고 시장에선 금리 동결 가능성이 커졌다고 평가했다. 관세협상 타결에 따른 경기 방어로 금리를 내려야하는 시급성이 줄었다는 의미다. 그동안 한은은 산적한 국내외 불확실성으로 0%대 저성장 기로에서 경기 부진 완화를 위해 완화적인 통화정책이 필요하지만 기준금리 추가 인하가 부동산 시장을 자극해 가계대출 증가세를 부채질할 수 있다고 우려해왔다.

이 총재는 7월 금리 동결 직후 기자간담회에서 "관세도 잡히고 집값도 안정되는 게 굉장히 좋은 시나리오"라면서 "성장 때문에 금리는 낮춰야 하는데 부동산 가격 때문에 낮추기가 어려운 상황이 되면 금융중개지원대출을 쓸 수 있어야 하는데 이조차 지금은 모두 활용 중이라 못 쓴다"고 고충을 밝힌 바 있다.

시장에서는 6·27 가계부채 관리 방안 대책 발표 이후 서울 및 수도권 지역의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폭이 5주 연속 둔화하긴 했으나 주택시장과 가계부채가 추세적으로 안정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아직 판단하기 이르다는 분석이 나온다.

김명실 iM증권 연구원은 "미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9월 금리인하 기대감 확산에도 국내는 당장 한국은행의 8월 금리 인하를 확신하기에는 확인해야 할 재료들이 남았다"며 "가계대출 감소, 주택가격 상승세 둔화 여부가 대표적"이라고 말했다. 그는 "완화적인 금융여건, 수도권 주택가격 상승 기대, 실수요자 대기수요, 수도권 주택공급 제약 등을 감안하면 단기간 내 규제에 대한 성과를 확인하기는 어렵다"고 덧붙였다.

다만 우리 경제가 올해 성장률 1%를 사수하더라도 잠재성장률 2%를 여전히 크게 하회하는 수준인 만큼 8월 선제적 금리 인하를 할 것이란 주장도 나온다. 이들은 이 총재의 이날 발언을 단순히 통화정책 운용 범위가 넓어진 데 대한 긍정적 평가 정도로 해석했다.

김성수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총재의 발언을 동결로 읽는 분위기가 있지만 평균 관세율 15%는 여전히 우리나라 성장을 깎아먹는 존재"라고 밝혔다. 그는 "한은 5월 관세별 성장률 시나리오를 보면 평균 10%가 돼야 성장률이 0.1%포인트가 올라갈 수 있는 만큼 15%를 아주 긍정적으로 평가하긴 어려우며 8월에 충분히 인하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고 밝혔다. 

이 총재 역시 7월 통방 기자회견에서 "우리나라 성장률이 좋아져도 잠재성장률이 2%인데 이보다 훨씬 나쁜 데다 지금 성장률이 몇 년째 잠재성장률 밑으로 내려가 있어서 GDP갭이 상당히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금리를 낮출 수 있는 가능성이 그대로 남아 있다"고 밝힌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