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도통신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아카자와 재생상은 이날 미국 워싱턴 DC 인근 공항에서 기자단과 만나 “(미국 상호관세 발표가) 합의 당시나 그 전후에 미국 측 각료로부터 들었던 것과 내용이 다르다”며 “경위를 설명받고 합의한 내용이 실제로 이행되도록 요구하겠다”고 강조했다.
앞서 일본은 지난달 미국이 부과하는 상호관세를 기존에 예고됐던 25%에서 15%로 낮추고 자동차 관세도 총 27.5%에서 15%로 인하하기로 합의했다.
당시 일본 정부는 관세율이 15% 미만인 품목은 상호관세 15%가 적용되고, 기존에 관세율이 15%를 넘었던 물품은 상호관세가 별도로 추가되지 않는다고 설명했지만 미국 대통령령과 세관당국 문서에는 이 같은 특별 조치가 일본에 적용되지 않았다.
그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일본의 5500억 달러(약 765조원) 대미 투자액은 “우리가 내키는 대로 투자할 수 있는 자금”이라고 언급한 것과 관련해서는 “일본 기업과 일본 경제에 이익이 없다면 협력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미국 내 공급망 구축 과정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의지가 강하게 반영될 것”이라고도 덧붙였다.
아카자와 재생상은 이번 방미 기간(5~8일)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 등과 회담을 갖고 양국 합의 사항을 재점검할 예정이다.
한편, 일본 정부 대변인인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은 6일 기자회견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의약품 관세를 향후 250%까지 올릴 가능성을 언급한 것과 관련해 “(미·일 합의에 따라) 우리나라가 다른 나라보다 불리한 대우를 받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